Q. 업무상 재해와 개인 질병은 구분이 필요한데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거나, 기존 질병이 자연 경과로 악화된 경우에는 산업재해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등이 업무 외적 요인으로 악화된 경우, 단순히 업무 중에 발생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산재로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실무상 불승인이 많이 나는 종류로는 근골계 질환이 있습니다.
Q. 애니메이션 성우들은 어느정도 연봉을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성우의 급여는 경력, 활동 분야(방송, 광고, 게임, 애니메이션 등) 및 소속 여부(프리랜서 vs 방송사 전속) 등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전속 성우의 경우 보통 중소기업 수준의 월급제를 받는 경우가 많고, 프리랜서 성우는 건당 단가로 정산되며, 유명하거나 경력이 많을수록 수입이 크게 높아질 수 있습니다.
Q. 사직서에 퇴직금 지급일에 대한 내용 법적효력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퇴직 시에는 14일 이내에 퇴직금 및 미지급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당사자 간 합의로 연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직서에 ‘익월 말까지 지급에 동의한다’는 문구가 자필 또는 자발적으로 작성된 경우, 퇴직금 지급 기한에 대해 합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법적 효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기간 내에는 임금체불 진정이 어려우나, 지연된 기간에 대해서 이자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