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언제나 의뢰인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송인영 노무사입니다.
언제나 의뢰인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송인영 노무사입니다.
송인영 전문가
노동법률사무소 협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작년 회사에서 실적이 좋아서 상여금을 많이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인영 노무사입니다.경영성과금의 경우 임금으로 보게 된다면 상여금의 형태로 산입시킬 수도 있겠으나, 임금이 아니고 일회성으로 지급된 경우라면 임금으로 보기 어려워 퇴직금에 반영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분기별 상여금도 최저임금에 속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인영 노무사입니다.3개월 마다 지급되는 상여금의 경우 최저임금에 미포함 됩니다.1개월 마다 지급되는 상여금이라면, 2023년 기준으로 월최저임금액의 5%인 100,529원을 제외한 나머지가 산입됩니다.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근로계약서는 계속 다시 작성해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인영 노무사입니다.정규직의 경우 근로계약서를 매년 갱신할 필요는 없고 최초 근로를 제공할 때 한 번 작성하면 됩니다.연봉이 변동되는 경우에는 연봉계약서를 매년 갱신하여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2023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직원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송인영 노무사입니다.법정 근로시간은 주 최대 52시간(1주 40시간, 연장근로 12시간)입니다.탄력적 근로시간제의 경우, 각 제도의 법정 요건에 맞추어 도입하시어야 합니다. 적법한 탄력적 근로시간제도를 도입하지 않을 경우 근로기준법을 위반한 것이 되어 처벌의 대상(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이 될 수 있습니다.
2023년 11월 18일 작성 됨
Q.
알바 그만둔뒤 1년반 후 손해배상 청구한다는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인영 노무사입니다.민사소송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손해액이 계산되어야 할 것입니다.그런데 문의 주신 글로 보아 구체적인 배상액을 산정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