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내에서 최초의 자치구가 어디며 어떻게 자치구가 당시 생겨난건가요?
안녕하세요.중국내 최초의 자치구는 1947년에 지정된 내몽골자치구 입니다.내몽골자치구는 당시 국공내전중이었던 중국공산당이 본인들의 정치적인 정당성을 공고히하기 위해 몽골족의 자치권을 인정하면서 처음 설립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중국 내 자치구는 총 5개로 내몽골자치구, 신장위구르자치구, 광시 자치구, 닝샤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이 자치구 제도를 활용하는 이유는 소수민족을 정치적으로 중국과 융화시키려는 정치통합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Q. 고려시대 정혜쌍수와 교관검수를 주장했던 분이 누구셨나요?
안녕하세요. 정혜쌍수와 교관검수를 주장한 승려는 각각 지눌과 균여 입니다.정혜쌍수는 12세기 지눌이 주장한 개념으로, 선정과 지혜를 같이 갈고닦아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당시의 고려 불교는 귀족주의 불교로 형식적이며 세속적으로 변화였습니다. 당시 지눌은 이러한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수선사 결사 운동을 통해 불교를 개혁하고자 하였습니다. 당시 같이 한 주장으로 돈오점수(단번에 깨닫되, 수행은 지속적으로 해야된다)가 있습니다.교관검수는 10세기 균여에 의해 주장된 개념으로, 명상(수행)과 경전공부를 같이 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당시 교종(교리를 중시)과 선종(수행을 중시)이 서로 대립되고 있던 시기였으며, 균여는 둘 다 중요하다는 중도의 개념으로 불교를 통합하고자 하였습니다.
Q. 조선이 유교를 근본으로 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조선시대 유교를 근본으로 한 이유는 중국의 영향과 당시 건국 세력이었던 신진사대부의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습니다ㅜ당시 중국은 명나라 시기로, 조선은 건국 당시부터 중국을 따라간다는 '소중화'의식이 있었습니다. 중국은 당시 아시아에서 최고 대국으로 많은 나라들이 벤치마킹하여 정치 체계나 나라 경제정책을 만들었기 때문에, 조선도 같은 의미에서 명의 정치체계와 학문적 배경을 따라 건국하기도 하였습니다.또한 조선의 주요 건국 세력인 신진사대부들은 유교경전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이었기 때문에, 조선의 건국 근본을 유교로 하는건 당연했습니다. 지금에야 유교가 옛날 학문, 옛날종교였지만 당시만해도 상당히 발달한 학문이었습니다.
Q. 이스라엘과 이란은 왜 저렇게 사이가 나빠진 걸까요 ?
안녕하세요.이스라엘과 이란은 예전부터 계속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 이는 역사적인 이유와 정치적인 이유가 있습니다.이스라엘은 건국부터 이전 팔레스타인(이슬람 국가)의 영토에 갑작스럽게 독립하며 등장하게 됩니다. 당시 미국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나라를 세우고, 이슬람의 성지 중 하나였던 예루샬렘을 수도로 삼게 됩니다. 예루샬렘은 이스라엘 종교인 유대교의 성지이기도 하여, 종교적으로 분쟁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이후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으로 이슬람 공화국이 세워지며 이스라엘과 적대적 관계를 명확히 하게 됩니다. 또한 이란은 핵무기를 공식적으로 보유하였고, 이스라엘은 이를 두고 국제사회를 위협한다고 공개비난하게 되어 서로 더 사이가 나빠지게 됩니다.이후 23년부터 두 국가는 직접적으로 충돌하게 되며 이번 전쟁 또한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이어진 결과라 볼 수 있습니다.
Q. 플라톤의 기록에서 아틀란티스관련 내용을 비추어볼 때, 아틀란티스의 실존 가능성은?
안녕하세요.아틀란티스의 실존가능성에 대해서 문의 주셨는데, 현재로써는 가상의 국가라는게 학계에서 더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플라톤이 말했던 가상의 이상주의 국가 '칼리폴리스'에 빗대어 타락하고 멸망한 가상의 국가를 철학적으로 표현했다고 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만약 실존했다면 가능성으로는 화산의 폭발로 멸망했다 알려민 미노아 문명이라는 설과, 대서양에 있다가 지금은 가라앉은, 알려지지 않은 섬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Q. 발해는 수도를 몇 차례 옮겼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발해의 초기 수도는 동모산으로, 지금의 중국 길림성에 있는 퉁화시 일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해의 시조였던 대조영이 수도로 삼았으며 건국 초기에는 고구려 유민과 당시 동모산 일대에 있던 말갈족 세력을 같이 규합하기 위하여 당시 말갈세력이 많이 살고 있던 동모산 일대에 초기 수도를 정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이후 발해 문황이 현재의 중국 길림성 룽터우산 일대의 상경용천부로 수도를 이전하였으며, 상경용천부는 당시 당나라의 장안성을 모티브로 만든 계획도시로 가장 발전된 도시였습니다.이후에는 발해의 성왕시대에 중경현덕부로 수도를 옮기게 되었으며, 현재의 지린성 화룡시 일대입니다. 상경용천부가 너무 북쪽에 치우쳐있어 교통이 불편한 단점이 있어 옮겼으나, 발해 선왕 시대에 다시 상경용천부로 수도를 옮기게 됩니다. 이때가 가장 발해의 전성기 시대입니다.즉 발해의 수도 이전은 총 3번으로동모산 -> 상경용천부->중경현덕부->상경용천부 순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