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리셀을 전문으로 하게 되면, 어떠한 감각이 필요한건가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만 답변드립니다. 리셀의 경우 구매한 상품이나 물건을 되파는 행위로 사실 동일한 제품에 대해서 아무런 변함없이 희소성을 가치로 하여 수익을 붙여 재판매하는게 일반적이기에 유행이 되는 상품을 빠르게 탐색하고 확보하는게 우선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남들보다는 유행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시장동향이나 분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능력으로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못지 않는 원상품에 대한 빠른 확보가 직접적인 고수익창출을 위한 부분이라 판단이 됩니다.
Q. 대형 프렌차이즈가 아니더라도 인기가 많은 카페?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브랜드 카페가 아닌 경우 사실상 인스타나 인터네상 홍보가 되야지만 사람들이 몰일수 있습니다. 결국에는 마케팅이 어느정도 잘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지속방문고객확보를 위한 카페분위기 및 맛도 중요한 역할을 할수 있습니다. 보통 개인카페이지만 잘 되는 경우는 최근 트랜드상 외곽지역에 큰 규모로서 인스타 사진 맛집등이 유행하고 있으며, 카페지만 베이커리 부분이 유명한 매장이 장사가 잘 되는추세입니다. 결국에는 다른 카페와 차별화되는 인테리어와 마케팅이 가장 중요한 부분일수 있고, 그 다음으로는 맛과 메뉴의 다양성등이 필요할수 있습니다.
Q. 대형 마트 없이, 상권이 조성된다면 경제적으로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상권이 형성되었다면 일반적으로는 지역경제에 플러스 요인이 되다고 볼수는 있습니다. 다만 같은 상권내라도 수익이 큰 매장과 적자인 매장 모두가 존재하는 것이기에 개별 매장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또한 대형마트, 백화점등이 없는 전통시장이나 개인마트등은 사실상 구 상권에 해당된다고 볼수 있고 이러한 상권이 장기적으로 지속되기는 어렵다는게 개인적 판단입니다. 그렇기에 지금은 수익이 나는 구조라도 점차 그 수익은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유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은 입지분석으로 통해 교통접근성 그리고 수요가능 유동인구등을 판단하여 입점을 하는게 일반적이고, 새로운 신도시등의 향후 발전가능성을 보고 입점을 하기에 실제 해당 중심상권을 바탕으로 상권이 형성되고 유동인구가 늘어나는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구 상권은 점차 경쟁에서 밀려나게 되면서 지역경제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