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빌라로 이사가려는데 모아주택으로 지정될 우려가 있어요.
모아주택 사업은 주택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서 블록 단위로 양질의 주택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정비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주민들의 동의를 바탕으로 진행되며,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택형 모아주택의 경우, 토지등소유자의 8/10 이상 및 토지면적의 2/3 이상의 동의가 필요합니다.서울시의 경우, 모아주택 사업 추진 시 토지등소유자 25% 이상이 반대하거나, 이전 공모에 지원했다가 선정되지 않았던 사유가 해소되지 않으면 모아타운 공모에 지원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투기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구청장이나 주민 요청에 의해 건축허가도 제한될 수 있습니다. 만약 주민 과반수가 모아주택 사업에 동의한다면, 사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하며, 강제 이주나 쫓겨나는 상황은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신, 사업이 진행될 경우, 주민들과 협의를 통해 이주나 보상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권리와 의견이 존중되어야 하며, 사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과 투명한 의사결정 과정이 필요합니다.만약 모아주택 사업에 반대하는 경우, 관련 법률이나 지역의 정책에 따라 반대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절차가 있습니다.
Q. 현재의 서울은 대한민국 건국 이후에 비해서 얼마나 넓어졌나요?
서울의 면적은 대한민국 건국 이후 상당히 확장되었습니다. 광복 직후인 1945년에 서울의 면적은 약 136㎢였으나, 여러 차례의 확장을 거쳐 현재는 약 605㎢로 증가하여 약 4.4배 넓어졌습니다1. 특히 1963년에는 인접한 5개 군 84개리를 편입하면서 면적이 613.04㎢로 2.3배 증가하였고, 이후 면적 재조정 등으로 현재의 면적에 이르렀습니다. 인구 소멸 현상과 관련하여, 서울을 포함한 많은 도시들이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구 감소에 직면해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서울의 인구는 지난 10년간 약 76만명이 감소하여, 전국 지자체 중 인구 감소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100년 후에는 서울 인구가 현재의 4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으며, 전국의 대부분 지자체가 인구 감소로 인해 소멸 위험에 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인구 감소 현상은 도시 통합과 같은 행정적 조치를 취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서울 내부에서도 인구 이동이 활발하며, 특히 젊은 층의 이동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