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차수당 계산할 때 통상시급은 언제가 기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연차 유급휴가 미사용 수당은 "1일 통상임금×미사용 휴가일수"로 산정합니다.연차 유급휴가 미사용은연차 유급휴가 청구권이 있는 마지막 달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2022년 2월 5일에 입사한 근로자의 경우,2023년 2월 5일에 발생한 연차 유급휴가 15일은 1년간(2024년 2월 4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5일의 연차 유급휴가 중 2024년 2월 4일까지 사용하지 못한 휴가일수가 3일이라면, 2024년 2월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연차 유급휴가 미사용 수당을 산정하면 됩니다.(미사용 휴가일수 3일×2024년 2월 기준 1일 통상임금)2024년 2월 5일에 발생한 연차 유급휴가 15일은 2025년 2월 4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사용 휴가일수가 있다면 2025년 2월 통상임금으로 연차 유급휴가 미사용 수당을 산정하면 됩니다.
Q. 나중에 시급에 못 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자료를 준비하는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 임금명세서, 급여통장 입금내역, 출퇴근기록 및 교통카드 이용내역, 임금체불 사실에 관하여 사업주와 주고받은 문자, 전화, 이메일 내역, 체불액 산정 내역 등을 준비하여,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공인노무사 자격증
Q. 공인노무사 자격증을 따게 되면 어떤 분야에서 일이 가능하며 취업 전망이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공인노무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노무법인이나 노무사사무소 등에 취업하거나, 사무실을 개업하여 기업 인사노무 자문, 임금체불 등 노동청 사건, 부당해고 구제신청 등 노동위원회 사건, 인사노무 컨설팅, 각종 외부 위원회 참여, 직장 내 성희롱 예방 및 괴롭힘 예방 등 노동법률 강의를 할 수 있습니다.사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인사노무 부서에 취업하는 것도 가능하며, 노동조합에서 근무하며 단체교섭, 단체협약 체결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공인노무사의 전망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자격증 취득 후, 계속하여 공부하고 경험을 쌓으면서 자신만의 업무 영역을 구축해 나간다면, 공인노무사로서 취업을 하거나 개업을 하였을 때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 왜 5인미만 사업장은 연차가 의무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은 소규모 영세 사업장의 인건비 부담 등 운영상의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상시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인 사업장에는 근로기준법의 일부 규정만 적용하고, 일부 규정은 적용을 제외하고 있습니다.연차 유급휴가 부여에 관한 내용은 근로기준법 제60조는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정에는 의무적으로 적용되지만, 상시근로자 수 5인 미만 사업장에는 적용이 제외됩니다.즉, 법령에서 정한 바에 따라,상시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인 사업장에서는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할 법적 의무가 없으며, 사업장에서 유급휴가 부여 여부, 부여 조건, 휴가 일수 등을 자체적으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