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놀이를 하다가 못하게 제지하면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아이가 보채고 공격적일 때, 정말 부모 된 입장에서 울고 싶기만 하죠.진료실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정말 많이 만나 뵙습니다.이럴 때 제가 주의 깊게 확인하는 건입니다.빠르면 만 18개월부터 만4세까지 "분노발작의 시기"라고 소아과에선 말합니다.말 그대로, 분노발작....관찰해 보시면 고함지르고 우는 아이들 대부분이 이 나이랍니다.소아과에선 이 원인이아이들의 언어발달이 뇌의 발달만큼 따라주지 않아 답답한 마음이 커져서 나타나는 것으로 봅니다.즉, 영화 를 떠오려 보시면 되는데요.흔히 헬렌켈러가 시력이 없어서 공격적인 행동을 했다고 오해하시는데사실 헬렌켈러가 말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주된 것입니다.지능만큼 할 말을 잘 할 수 있지 못하니 대신 아이는 고함치거나 소리를 지르는 걸로 표현하는 거죠.그렇다면, 이때 보호자분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위험한 행위를 하거나 폭력을 행할 때는 일단 라고 강하고 엄하게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다만 강하고 엄하다는 것이 고함을 지르거나 또 폭력이어서는 절대 안됩니다.이러한 행위는 아이의 공포를 조장해서 더 폭력적으로 만들 뿐 아니라일종의 이 되기 때문입니다.(보상이라고 하면 칭찬을 생각하시는 때 화를 내는 것또한 이라는 보상의 일종입니다.)위험한 경우는 꼭 붙들고 못하게 해야 하나, 가벼운 상황에서도 거리만 두고 관찰만 하시기 바랍니다.웬만한 경우 옆에서 기다려주시고(그 자리에서 모른 채 떠나버리거나 혼자 두는 건 절대 금기입니다.)스스로 멈출 때까지 기다렸다가 그때서야 다가가서 원하는게 무엇인지 물어보시고 때리거나 고함을 질러서는 절대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신 뒤아이가 수긍하면 그때 꼭 안아주시기를 반복하시길 바랍니다.가장 나쁜것을 화를 내셨다가 달래셨다가 하는 것입니다.훈육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일관성입니다.당장의 남의 눈치를 보아 달래셨다가 다음번에 엄하게 하시면아이는 혼란을 느끼면서 부모님을 믿을 수 없는 대상으로 생각하게 되기 떄문이죠.물론 힘드시겠지만, 아이의 답답함을 이해하는 동시에 기다리는 인내와 훈육의 일관성을 지키시면결과적으로 아이는 크나큰 안정감을 가지게 됩니다.모쪼록 상담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편안한 육아 되시길 기원합니다.
Q. 자다가 일어나서 계속 웃는아이..병원가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밤에 자다가 깨서 이상항 행태를 보일 때는 먼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완전히 깬 상태로 주변의 눈치를 보면서 울고 있다면이는 무언가에 대해 겁에 질려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적극적으로 개입하셔서 원인을 교정해 주셔야 합니다.특히, 다음날 아침에 다시 물어봤을 때,아이가 밤에 깨서 울었던 것에 대해 기억하며부끄러워하거나 눈치를 본다면 여기에 해당합니다.이때 단순하게 이야기로 원인에 대해 알기 어려우시다면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바로 소아 신경정신과로 내원하여 상담받으셔야 합니다.그러나,아이가 자다가 마치 귀신을 본 듯이 갑작스레 크게 울거나,울고 있을 때 깨어 보아도 부모님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는(마치 낯선 사람처럼 보거나,반대로 아예 부모님이 보이지 않는 것처럼 행동한다면) 것처럼 보인다면보기에만 깨어있을 뿐 실상은 가수면 상태인 것입니다.이는 일시적인 몽유 증상으로 흔히 이라고도 합니다.몽유 증상이라 하면 놀라시겠지만나이가 어릴 때는 성인에 비해 렘수면이 길고 오래가므로일시적으로 피곤할 때 몽유 증상이 정상 아동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때 특징은낮에는 전혀 다른 아이로 변하여 활동하고 잘 놀며,실제 다음날 아침에 밤에 울었던 걸 물어보아도 기억조차 못 하는 경우입니다.만약 여기에 해당한다면 낮잠을 조금 늘려보거나, 낮에 지나친 활동을 자제시킴으로써수면의 질을 높여주세요또 대부분은 일시적으며 저절로 좋아지니 지나친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물론, 그럼에도 장기간 지속되고 정도가 심해지면소아 신경정신과로 내원하여 수면 시 몽유 증상에 대해서 치료받으시는 경우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