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두돌도 안된 아이 고집을 꺽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아이가 보채고 공격적일 때, 정말 부모 된 입장에서 울고 싶기만 하죠.진료실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정말 많이 만나 뵙습니다.이럴 때 제가 주의 깊게 확인하는 건입니다.빠르면 만 18개월 즈음해서 "분노발작의 시기"가 나타납니다.흔히 미운 네살이라고 하지만 사실 좀 더 일찍 나타나는 경우가 이와 같죠.말 그대로, 분노발작....관찰해 보시면 고함지르고 우는 아이들 대부분이 이 나이랍니다.소아과에선 그 원인이아이들의 언어발달이 뇌의 발달만큼 따라주지 않아 답답한 마음이 커져서라고 봅니다.즉, 영화 를 떠오려 보시면 되는데요.지능만큼 할 말을 잘 할 수 있지 못하니 아이가 고함치거나 소리를 지르는 걸로 표현하는 거죠.그렇다면, 이때 보호자분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위험한 행위일 때는 꼭 붙들고 못하게 해야 하나, 가벼운 상황에서도 그렇게 하는 건 권하지 않습니다.(꼭 붙잡는 건 아이에게 조금은 폭력적인 느낌을 받게 합니다.위험한 상황일 때만 꼭 안아주면서 괜찮아라고 말해주시면 더 좋습니다.)무조건 달래서도 안되지만 같이 혼을 내시거나그 자리에서 모른 채 떠나버리거나 혼자 두는 건 절대 금기입니다.(혼을 내는 것또한 일종의 리액션이라는 보상작용이기 때문에 달래는 것만큼 습관을 고착화하기 때문입니다.)가능한 스스로가 멈출 때까지 기다렸다가 그때서야 꼭 안아주기를 반복하시길 바랍니다.물론 힘드시겠지만, 아이 스스로 답답해서 오죽 힘들었을까 생각하시면서 다독여준다면아이는 크나큰 안정감을 가지게 됩니다.모쪼록 상담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편안한 육아 되시길 기원합니다.
Q. 15개월 완모아기 애착에 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15개월동안 완모를 하셨다니 어머님의 정성이 얼마나 대단했을지 짐작해봅니다.자연스레 단유를 하더라도 아직 아이는 수유때 습관이 남아있겠지요.이는 매우 당연한 것입니다.다만, 어머님 또한 당연히 자기몸에 대한 결정권이 있으며아이가 어리더라도 이를 포기해선 안되는 것이 맞습니다.문제는 방법인데요.라는 말은 오히려 아이가 집착하게 하는 자극이 되므로 권하지 않습니다.또, 가슴에 아이가 싫어하는 것을 그리시거나, 약을 바르거나 하시는 분도 많은데사실상 도움이 잘 안되는 편입니다.저는 이런 경우 또는 로 일컬어지는 방법을 사용하시라고알려드립니다.즉 , 아이가 가슴을 만지려할 때 즈음, 간식을 쥐어주시거나, 좋아하는 장난감을 손에 쥐어주거나잠깐 자리를 피하시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이렇게 작은 좌절들이 반복되면 아이는 더이상 기대하지 않게되고 차츰 습관을 잃어버립니다.물론 이렇게 습관을 인위적으로 사라지게 한다면, 대신 다른 것으로 집착이 옮겨갈 수도 있는데엄마의 다른 신체부위를 열심히 만지려고 하는 경우가 이것입니다.따라서 이때 엄마의 신체부위를 대신할 등이 생길 수 있으며이는 절대 나쁜 것이 아닌 정상적인 전환이라 보셔도 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