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청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언제, 누가 발명을 했는지도 궁금하구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인성 난청인 경우 보청기를 통해 상대방 말소리를 마이크가 감지하여 디지털 증폭기로 소리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소리를 최적의 상태로 증폭 후에 고막으로 전달 시켜 줍니다. 일종의 미세한 스피커 기능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청기를 착용했다고 갑자기 모든 소리가 잘 들리는 것이 아니라 착용하는 사람의 청력 상태와 생활 환경 등에 따라서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아무리 좋은 보청기를 착용해도 처음에는 관리와 의사소통을 위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특히 보청기 원리를 잘알고 이해해야 소리가 인식이 되는데요. 보청기는 단순히 소리를 증폭해주는 장치로서의 기능외에도 청력손실을 보완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보청기 원리를 좀더 살펴보자면, 정상적인 경우 소리를 인식할때 소리가 귀로 들어와 외이도를 타고 안으로 들어가 고막을 진동시켜 안쪽으로 이어진 이소골로 전달하고 증폭된 소리가 달팽이관으로 옮겨져 청시경을 통해 뇌로 소리를 인식하게 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난청인은 내이 손상이나 신경손상등의 원인으로 소리를 감지하는 능력이 저하되는데요. 이를 보완해주는것이 보청기의 기본적인 역할입니다. 보청기 구조는 마이크로폰, 증폭기, 건전지, 리시버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외부 소리를 마이크로 잡아 미세하게 조절하여 고막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과거 단순 소리 증폭기였던 보청기는 오늘날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여러 분석을 거쳐 원하는 소리의 출력을 가능케 하며 보청기 크기도 최소화하여 눈에 잘 띄지도 않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청력 손실을 막아주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Q. 마이야르 반응은 왜 발생하고 효과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래 내용을 정리하자면, 마이야르 반응은 결국 특정온도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입니다화학반응에 의해 감칠맛나는 성분이 발생해서 더욱 풍미를 높이는 겁니다.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은 아미노산과 환원당 사이의 화학 반응으로, 음식의 조리 과정 중 색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특별한 풍미가 나타나는 일련의 화학 반응을 일컫는다. 이 화학 반응은 프랑스 화학자인 루이스 카밀 마이야르(Louis Camille Maillard)가 단백질 합성을 연구하던 중 처음으로 발견하였다.마이야르 반응은 음식을 조리할 때 오븐 온도로 적합한 140-165°C에서 진행되며, 특별한 생체 효소의 관여 없이도 매우 빠르게 화학 반응이 일어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마이야르 반응 이외에 환원당의 캐러멜화(caramelization)에 이어 열분해(pyrolysis)가 일어나 음식이 검게 타버리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마이야르 반응 [Maillard reaction] (화학백과)마이야르 반응은 조리된 식품의 색깔이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화학 반응이다. 특히 고기나 양파를 구울 때 색이 변하는 현상이나 감칠맛이 나는 것, 커피 생두를 굽는 로스팅(roasting) 과정도 마이야르 반응의 예라 할 수 있다.이미지 목록6-acetyl-2,3,4,5-tetrahydropyridine(출처)2-acetyl-1-pyrroline (출처)위의 분자들은 빵이나 팝콘, 쌀을 조리할 때 음식의 맛과 풍미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분자들로 마이야르 반응의 부산물로 형성된다. 이들 분자는 매우 소량만 존재하더라도 그 향을 맡을 수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마이야르 반응 [Maillard reaction] (화학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