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물을 지었을때 이 건물이 안 무너질꺼라는 증명? 은 어떻게 하나요?
간단히 말씀드리면 구조설계시 오랜시간 쌓여온 데이터 통계에 따른 하중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지진은 데이터로 남아 있는 기록 중에 강했던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러한 것은 바람(태풍, 강풍 등)이나 적설하중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건축물에 설치되는 설비나 무게가 많이 나가는 마감재 등에 대해서도 별도의 구조계산이 이루어집니다. 건축물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구나 사람 등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에 대해서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단위 면적당 발생할 수 있는 하중을 대입하는데, 이 또한 여유롭게 잡혀 있는 값입니다. 그 외에도 구조체의 형태에 따른 하중 영향, 구조체 재료에 따른 영향 등 여러가지 변수들에 대한 통계들을 반영하여 설계합니다. 대부분의 요소는 그동안 축척된 통계를 따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옆단지에서 공사중인데요 기초공사는 얼마나 오래하나요?
기초공사는 현장 여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반의 상태, 기후, 규모, 공사 깊이 등 변수가 많습니다.아파트 옆단지라고 하신 것을 보아 아파트공사현장인 듯한데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해당 현장은 규모나 작업을 보아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비산먼지발생사업 신고대상일 것입니다. 대상이 되면 신고시 방진시설 등의 설치계획이 들어가야 하며, 그 밖에 저감대책들이 수립되어야 합니다. 현장에서 먼지가 너무 많이 발생하여 창문을 열 수 없을 정도라고 하니 해당 구청 또는 군청에 민원을 접수하셔도 되는 문제입니다. 민원신고가 들어가면 담당자가 현장조사후 건축관계자들에게 고지를 하고 시정되지 않을시 더 강한 조치가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그런 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