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간 외의 동물들은 인간들보다 질병의 수가 적나요?
인간 외의 동물들이 인간보다 질병의 수가 적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다양한 종과 서식지를 고려하면 훨씬 더 많은 질병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지구상에는 수많은 동물 종이 살고 있으며, 각 종마다 고유한 질병이 있습니다. 야생동물은 기생충, 바이러스, 세균 등 수많은 병원체에 노출되어 있어 다양한 질병을 겪으며 다른 종과 공유하는 질병도 많습니다.야생동물은 부상이나 면역력 약화로 인한 질병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치료를 받을 수 없어 감염이나 질병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 인간은 현대 의학 덕분에 많은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미 자취를 감춘 질병도 있죠.다만, 인간은 위생적인 환경과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감염병의 위협이 적은 대신, 생활 습관으로 인한 만성질환이 늘었는데, 이러한 질병은 야생동물에게는 상대적으로 드물죠.결론적으로, 전체 동물 종을 놓고 보면 지금 현 상황에서 인간 외 다른 동물들이 인간보다 훨씬 더 많은 종류의 질병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Q. 펭귄은 왜 멀리 대변을 싸는지 궁금합니다
한때 과학계의 재미난 주재였었고 수년전 우리나라 예능에서도 나와서 놀랐었던 기억이 있습니다.독일과 헝거리의 연구에 따르면, 펭귄의 대변 배출 속도는 초속 1.5~3미터에 달하고, 최대 40~50센티미터까지 날아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변의 배출속도가 사람보다 8배나 빠른 것이죠.원리는 물총과 비슷합니다. 펭귄의 짧고 굵은 직장은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을 만들어내고, 항문은 괄약근이 없어 짧은 시간에만 열리며 그 압력을 그대로 분출하는 것입니다.이러한 독특한 구조는 펭귄에게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는데, 둥지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포식자의 눈에 덜 띄게 하며, 대변을 짧은 시간 내에 처리함으로써 체온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해삼이 대변시 창자를 끄집어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해삼이 배변 시 창자까지 끄집어내는 것은 아닙니다.물론 해삼이 자신의 창자까지 끄집어내는 행동을 보이는 것은 사실인데, 이는 배변 과정이 아니라,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수단입니다.해삼은 위협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항문을 통해 내장을 뿜어내는 '자절'이라는 현상을 일으킵니다. 뿜어져 나온 내장에는 포식자에게 독이 되는 '홀로톡신'이라는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포식자에게 치명상을 입히거나 혼란을 주어 그 틈을 타 도망칠 수 있는 것이죠.물론 내장을 뿜어낸 해삼은 죽지 않고, 한 달 정도 시간이 지나면 내장이 다시 재생되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Q. 고양이과 동물은 왜 대체적으로 단독생활을 하나요
가장 큰 이유는 생활방식이겠지만, 그 중에서도 사냥방식의 차이가 가장 큰 이유입니다.대부분의 고양이과 동물은 주로 자신보다 작은 먹이를 사냥합니다. 매복하고 은밀하게 접근하여 기습하는 방식은 단독 사냥에 훨씬 유리하죠. 여러 개체가 함께하면 먹이를 놓치거나 경쟁이 될 수 있습니다.반면, 늑대같은 개과 동물은 무리 지어 자신보다 큰 먹이를 끈질기게 추격하여 잡는 편입니다.또한 이러한 이유때문인지 고양이과 동물은 자신의 영역을 철저히 지키려는 강한 영역 본능을 가졌습니다. 이는 먹이를 독점하고 번식 상대를 확보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물론, 사자처럼 예외적으로 무리 생활을 하는 고양이과 동물도 있는데, 이는 앞서 말씀그린 개과 동물처럼 힘센 먹이를 사냥하고 영역을 방어하기 위해 협동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결국, 고양이과 동물의 단독 생활은 진화 과정에서 형성된 그들만의 생존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사람이 도시생활을 하면서 후각신경이 왜 약해진건가요
꼭 그렇다고 보기만은 어렵습니다.오히려 후각 능력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과거에 비해 문명이 발달하면서 후각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지만, 현대 도시 생활이 후각 능력 자체를 약화시키는 직접적인 생물학적 원인은 없습니다.다만, 환경적 요인과 생활 습관이 후각 기능의 활성화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도시 환경이 다양한 냄새를 접할 기회가 적기 때문입니다.결론적으로 도시 생활 자체가 후각 기능의 생물학적 퇴화를 직접적으로 야기하는 것은 아니며, 후각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후각을 자극할 기회가 줄어들면서 후각 기능의 활성화가 늦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즉, 능력 자체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덜 사용하게 되면서 그 기능이 상대적으로 둔해진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조류의 소대변은 왜 산성을 띄는지 궁금합니다
조류의 배설물에 포함된 요산 때문입니다.대부분의 포유류는 질소 노폐물을 물에 잘 녹는 요소 형태로 소변과 함께 배출합니다. 하지만 조류는 질소 노폐물을 요산 형태로 배출하는데, 요산은 물에 거의 녹지 않는 흰색의 페이스트 또는 결정 형태의 물질입니다.조류가 질소 노패물을 요산 형태로 배출하는 이유는 수분을 아낄 수 있고, 배설에 물이 많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배설물로 인한 체중을 늘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우리가 흔히 보는 조류의 배설물은 검은색 부분인 대변과 흰색 부분인 요산이 함께 섞여 있는 형태입니다. 이 중 강한 산성을 띠는 요산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 배설물 역시 높은 산도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