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은 몇년정도 가는 건가요?????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등 주거 건물 들 은 한번 지으 면 건물 이 무너지기 전까 지 얼마나 가는 건가요????? 재건축이 안되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콘크리트 건물의 경우 평균적인 수명은 50~60년정도 보시면 됩니다, 물론 외국의 경우에서는 그 이상도 실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는 준공된지 30년이상되면 안전진단이 신청이 가능하고 해당 과정을 통해 재건축을 진행하기 때문에 평균적인 사용가능 년도보다 짧게 사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재건축이 안되면 계속 그대로 유지가 되며, 사람들이 거주하거나 이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건물이 노후화되고 안전상 위험도가 높아지면 행정절차등에 따라 철거등이 진행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30년이 넘어가면 재건축 연안은 되는데 그때부터 재건축시작을 한다면 20년이 더걸릴수 있습니다
재건축을 시작했다면 얼마나 조합원들이 단합이 잘되느냐에 따라 기간이 단축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축물은 대개 30년에서 50년 정도의 수명으로 만들어 집니다. 그러나 30년에서 50년 정도 지났다고 무너지는 개념이 아니라 배관 등 각종 기능품등이 제 성능을 내지 못하므로 리모델링이나 재건축 등이 필요한 상태가 되는 것 입니다. 재건축이 안되고 계속 노후되면 배관이 낡아서 물이 제대로 안나오거나 전선이 낡아서 누전의 위험 등이 생기겠지요. 그리고 그런상황이 지속되면 사람이 살지 않는 공가로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30년이 지나면 안전진단을 통해서 노후화로 판정이 되면 재건축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법이 바뀌어서 30년이 지나면 안전진단 없이도 재건축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즉 30년이 지나면 어느정도 노후화로 판단을 하고 주민들 동의에 의해서 조합을 만들고 재건축을 시행하곤 합니다.
하지만 그 보다 더 오래된 건물들도 아직 튼튼한 건물도 많고 오래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건물이 무너지기 전에 사전 진단을 통해서 건물을 새로 지을지 말지 판단을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처음에 건물을 튼튼하게 지으면 유렵의 건물처럼 100년 200년도 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사계절 기후와 자재를 꼼꼼하게 넣지 않아 건물의 연식에 비해 노후도가 급격히 진행되는 감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로 재건축이 안된다면 슬럼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원래 콘크리트건물의 수명은 100년을 봅니다만 우리나라는 30~40년정도 되면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하는 추세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주거 건물의 수명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등의 건물은 30~50년 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 건물의 내구도와 유지 관리 상태에 따라 이 기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건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건물은 점차 노후화되어 안전 문제나 생활 편의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건축이 어려운 경우, 리모델링을 통해 건물의 기능과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