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눈부신왈라비260
눈부신왈라비260

일찍 자면 항상 새벽 5시쯤 깨는데 불면증인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27
제가 9-11시 사이에 잠들 때면 항상 새벽 5시에 깨요. 11시에 잠들어도 새벽 5시에 깨서 6시간 조금 안되게 잘 때가 많은데 이것도 불면증의 일종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 입니다.

    늦게 잠들더라도 비슷한 시간에 깨는 것은 불면증으로 인한 증상 보다는 개인의 생활 습관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성인의 일일 권장 수면시간은 7~9시간으로 늦게 잠자리에 들 수록 수면 시간이 부족하게 되므로 9~10시에는 취침하실 것을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9시에 주무시는 것으로 가정하면 8시간을 주무시는 것이니 충분하게 주무신다고 볼 수 있고, 11시에 주무신다고 가정하면 6시간을 주무시는 것이니 일과 중 피로감을 느낀다면 수면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6시간 정도를 주무신 뒤에도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다면 딱히 수면의 문제는 없다고 보아도 될만한 수준입니다. 사람마다 요구되는 수면시간이 다르고, 6-8시간 정도가 적당한 수면시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매일 같은 시간에 깨는 현상은 일주기리듬 각성이라는 생체시계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이는 불면증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수면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낮 동안 피로감이나 기능 저하가 동반되지 않는다면 병적인 상태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6시간 미만의 수면은 성인에게 다소 부족한 편에 속합니다. 충분한 수면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수면 스케줄을 유지하고, 숙면에 도움이 되는 수면 위생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문제가 지속되거나 일상 기능에 지장을 준다면 수면다원검사 등을 통해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필요한 치료를 받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불면증은 수면의 시작과 수면의 유지에 문제가 있고, 자고 일어나서도 기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해당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치료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밤9시에 자서 새벽5시쯤에 깨어나는 것은 불면증이라 보기 어렵지만 자고 나서도 피로함이 지속된다면 치료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수면의 양보다 중요한 것은 질로 불면의 원인을 분석하고 치료가 진행됩니다.

  • 6시간 정도 깨지 않고 주무신다면 불면증이라고 보기는 좀 애매한데 신체 리듬이 그 때에 깨도록 맞춰져있는게 아닌가 합니다. 이것을 수면 유지 어려운 수면장애로 본다면 바로 약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수면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을 해결해 보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혹시 오후 늦게나 저녁에 커피와 같은 카페인을 마신다면 중단해 보시고, 평소 자기 전에 긴장이 많이 된다면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해주시거나 가벼운 운동을 해주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늦게까지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수면에 방해가 되니 피해보시면 좋구요. 지금 경험하는 불면증상은 일시적일 가능성도 높답니다. 그러니 수면위생관리를 시도해보시고 그래도 불편하시다면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와 처방을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1주일에 2-3회 이상, 낮동안의 과도한 졸림/피로가 있는 경우가

    한 달이상 지속될 때 를 불면증이라고 합니다

    말씀하신 경우는 항상 같은 시간에 일어나는 경우로 보이는데...

    매우 좋은 수면 습관 중에 하나일 듯 합니다

  • 평소에 일어나시는 시간이 몇시이신가요? 

    평소 기상시간보다 2기산 이상 일찍 일어난다면 불면증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게 아니라면 일찍 자기 때문에 일찍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자는 시간과 무관하게 새벽 5시 쯤 깨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 불면증의 일종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불면증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수면 습관이 그렇게 든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잠을 자는 시간이 6-8시간 정도로 계산되는데,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관련하여서는 보다 이른 시간에 잠을 자는 습관을 들이거나 5시에 깨더라도 조금 더 늦게까지 잘 수 있도록 계속 잠을 잘 수 있도록 습관을 새롭게 들이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일찍 깨는것은 불면증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중간에 새벽에 자주 깨거나 잠들기 힘든경우는 아니라 단지 수면시간이 짧은듯 하네요

  • 수면의 질이 나쁘지 않다면 불면증에 해당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특정 수면각성 주기에 익숙해져 있으면 일정한 시간에 깰수 있고 이는 병적인 상태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