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기준이 뭔지 알려주세요~~
우리가 흔히 아는 삼성이나 현대 lg는 누가 뭐라해도 명실상부 대기업이 맞습니다.
이름만 들어도 아!거기알아 하는회사가 대기업인줄 알았는데 중견기업으로 분류가 되더라고요.
대기업의 기준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하기로는 대기업 기준은 매출액 5조 원 이상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말한다고 합니다
계열사 자산의 합계가 10조원이 넘으면 매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보고
작은 계열사라도 대기업이 모회사라면 똑같이 대기업이라고 분류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대기업은 법적으로 정확하게 정의되어 있지는 않으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용하는 자산 10조 이상인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이며 중소기업기본법에 포함되지 않는 기업을 말하며, 자본금이나 종업업 수가 크고 대규모 자본과 영업조직을 가지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규모의 기업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대기업은 자본금이나 종업원 수의 규모가 큰 기업으로, 보통 대규모의 생산 자본과 영업 조직을 갖추고 있어서 경제력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도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규모 기업을 말합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용하는 대기업(집단)이라는 용어는 독점규제법에 의해 지정된, 자산총액이 5조 원 이상인 공시대상 기업집단과 10.4조 원 이상인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을 의미합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대기업의 기준은 이정도로 정리됩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하기로는 대기업 기준은 매출액 5조 원 이상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말합니다.
계열사 자산의 합계가 10조원이 넘으면 매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봅니다.
작은 계열사라도 대기업이 모회사라면 똑같이 대기업이라고 분류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대기업이란 일정 규모를 이상의 자산 및 종업원을 갖추고 큰 매출을 올리기는 기업을 뜻하며, 그 기준은 일상용어에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대한민국 내에서의 법적인 정의로는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와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의거하여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의 요건에 해당 하지 않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중소기업기본법에 포함되지 않는 기업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의거한 중견기업에 포함되지 않는 기업
자산 10조원 이상으로 공정거래 위원회에서 지정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금융 및 보험, 서비스업을 하며 중소기업기본법에 소속되지 않는 기업
국가별로 법률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대기업에 대해 전세계 공통으로 통용되는 명확한 정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