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요즘 물가가 여전히 빠르게 오르고 있나요?

몇년전에는 물가 상승으로 서민들이 크게 힘들어한다는 기사가 있었는데요. 요즘도 소비자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되고 있습니다.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하여, 2023년 12월의 2.5% 상승에서 낮아졌습니다. 율이 떨어졌을뿐 올라간 물가는 내려가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에서는 물가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지표를 발표하고 있지만 실제로 가계에서 느끼는 체감 물가는 매우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사과,배 등 과일가격이 전년대비 상승하였고 식료품 또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부터 올해 1월까지 물가는 서서히 오르고 있는데, 코로나19 이후 그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다소 완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 지표인 2024년 12월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1.9% 상승하여 그전의 평균 상승률인 2.3%보다는 낮은 수준을 보였었습니다.

    그러나 2025년 1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경우 고환율, 국제적 무역 갈등의 영향으로 다소 높아질 가능성은 있어보입니다.

    가파르게 상승중은 아니며 2025년 상반기에는 점차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24년도 월간 전체 흐름을 본다면 큰 변동이 없습니다. 총지수 24년 1월 113에서 24년 12월 115수준으로 소폭 올랐으며 그냥 소비자가 단순 체감하기에 높은 수준으로 보여지는것뿐입니다.

    생활물가지수만 별도로 조회해서 보더라도 24년 1월 115.58에서 24년 12월 117.34로 이것도 소폭 오른수준입니다. 농수산물은 오히려 122.71에서 월말 122.32로 소폭 떨어진수준입니다.

    즉 서민들이 본인들이 주로 소비하는 제품들의 가격이 오른것만 인식하다보니 체감적으로 오른것으로 인식하는것이지 작년도에 물가상승은 크게 오르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듯 보이나 체감상으로는 다르긴하더라구요

  • 작년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물가가 급상승을 하였는데 최근에는 2프로 수준으로 인플레이션율이 많이 안정되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의 경기가 강해 언제 다시 인플레이션이 상승할지 몰라 미국은 금리인하에 신중한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