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말끔한불독239
말끔한불독23924.01.16

월세방 이사갈 때 계약 만료 전에 전부 해치워야 하나요?

혹시 자취하면서 이사해본 분 계실까요....?

이사 가고 싶으면 계약 만료 2달 전에 공인중개사한테 말하는 건 알고 있습니다.

1. 그렇다면 집 발품 팔고 새로 이사 갈 집에 임대차계약하고 이삿짐 옮기기까지의 과정을 계약 만료 전에 다 끝내야 하나요? 아니면 이사 가는 게 확정된 상태라면 계약만료 되어도 이삿짐 옮길 기간 며칠 정도는 봐주시나요?

2. 임대차 계약 만료 시 보증금은 언제 돌려받나요?

3. 보증금을 전액 반환 받은 후 이사를 가는 게 일반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1 이사 갈 집에 임대차계약하고 이삿짐 옮기기까지의 과정을 계약 만료 전에 다 끝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임대인과 협의하여 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임대인이 새로운 세입자를 구해놓았다면 계약 만료일에 이사를 나가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지 못했다면 계약 만료일 이후에도 이삿짐을 옮길 수 있는 기간을 봐주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임대인과 미리 상의하여 이사 날짜를 조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임대차 계약 만료 시 보증금은 임차인이 임대차목적물을 반환하고 임대인이 임대차보증금을 반환하는 동시이행관계에 있습니다. 즉, 임차인이 이사를 나가면서 열쇠를 반납하고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입니다. 임대인이 보증금을 반환할 때는 연체된 임대료와 관리비 등을 정산하여 공제해야 합니다.

    3 보증금을 전액 반환 받은 후 이사를 가는 게 일반적인지에 대해서는 임대인과 임차인의 합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은 보증금을 전액 반환 받은 후에 이사를 가는 것이 안전하고 편리합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보증금을 일부만 반환 받고 이사를 가고 나머지를 나중에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보증금 반환에 관한 합의서를 작성하여 서명하고 날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이사 가고 싶으면 계약 만료 2달 전에 공인중개사한테 말하는 건 알고 있습니다."

    -> 계약만료 6~2개월전 계약상대방(임대인)에게 직접통보하셔야 합니다.

    1. 계약만료일에 보증금 반환을 받고 퇴거하시는게 원칙입니다, 그러므로 그전에 이사갈집을 구하시는게 맞습니다 . 이후 지연등으로 인한 것은 임대인과 협의하여 정하시는 부분입니다.

    2. 만기일에 보증금 반환받고, 주택인도를 하시면 됩니다.

    3. 네, 보증금반환과 주택인도는 동시이행관계이므로 오전에 먼저 짐을 다빼신후 보증금 반환받고 현관비번등을 임대인에게 알려주시면 됩니다 .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1. 그렇다면 집 발품 팔고 새로 이사 갈 집에 임대차계약하고 이삿짐 옮기기까지의 과정을 계약 만료 전에 다 끝내야 하나요? 아니면 이사 가는 게 확정된 상태라면 계약만료 되어도 이삿짐 옮길 기간 며칠 정도는 봐주시나요?

    ==> 계약만료일자에 짐을 옮기는 동시에 보증금도 청구해야 합니다.

    2. 임대차 계약 만료 시 보증금은 언제 돌려받나요?

    ==> 임차건물 반환과 보증금 청구는 동시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3. 보증금을 전액 반환 받은 후 이사를 가는 게 일반적인가요?

    ==>네 그렇습닏,.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만기전2개월에서 6개월사이에 임대인께 통보하고 임대인이 방을 부동산에 내놓으면 다른세입자가 계약을 하면 날자에 맞춰 다음집을 계약을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잔금일에 보증금을 받아 얻은집 잔금을 치르면 됩니다

    아니면 임대인이 보증금을 언제 주겠다고 하면 그날자를 다음집 잔금일로 잡으면 됩니다

    그때 보증금받고 공과금정산하고 이사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1. 그렇다면 집 발품 팔고 새로 이사 갈 집에 임대차계약하고 이삿짐 옮기기까지의 과정을 계약 만료 전에 다 끝내야 하나요? 아니면 이사 가는 게 확정된 상태라면 계약만료 되어도 이삿짐 옮길 기간 며칠 정도는 봐주시나요?

    - 일반적으로 만료일 근처에서 임대인과 임정 조절을 합니다. 예를 들어 만료 1주일전쯤에 다른 곳을 계약해야 할 경우 우선 임대인에게 그날 보증금을 반환 해 줄수 있는지 물어보시고 협의하시면 됩니다. 만약 늦어질 경우도 임대인과 협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2. 임대차 계약 만료 시 보증금은 언제 돌려받나요?

    - 일반적으로 퇴거 할때 임대인이 방을 확인하고 돌려줍니다.

    3. 보증금을 전액 반환 받은 후 이사를 가는 게 일반적인가요?

    - 네!!!!당연합니다. 보증금반환과 퇴거는 동시이행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기간종료전에 집알아보시고 계약해놓고 있다가 기존집에서 계약종료일에 보증금반환받고 이사갈집 잔금입금과 동시에 이사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