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구 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은 몇 %인가요?
부동산은 굉장히 고가이기에 무리하여 구매하고 원리금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가구 자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한국의 가구 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은 몇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우리나라 개인 재산중 부동산 비중은 약80%에 육박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중국과 한국만 이렇게 높은 비중입니다.
정확히는 가구당 순자산 중 부동산이 차치하는 비율에 대한 연구 발표는 대략 76%로 나와있습니다. 즉, 가구당 가진 자산의 76%가 부동산 자산이라는 의미이고, 해외 다른 선진국 미국이나 영국등과 비교하면 1.5~2배 가까이 한국이 높습니다. 이는 한국사람들의 부동산은 안전자산이라는 인식이 영향을 준것도 있겠지만 미국처럼 부동산 보다는 노후를 대비한 주식 장기투자등의 안전한 타 투자대상이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는 주식시장은 개미의 피해만을 조장하는 환경등 타 대체 안정적인 투자처가 없는 것도 한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
어떻게 보면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의 경우는 자산투자 제도나 흐름이 후진국수준의 수치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한국의 가구 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은 상당히 높습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62%입니다. 이는 주택 등 부동산이 가계 자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부동산은 한국 가계의 순자산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가구당 평균 순자산은 5억1120만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가계자산중에서 부동산등 비금융자산이 3분의 2가량을 차지하고 금융자산중에는 예금비중이 크답니다
그만큼 부동산을 선호하다보니 금융비중은 낮은거 같습니다
대한민국은 부동산 공화국이라고 할 만큼 개인자산에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큽니다.
특히 우리나라 전 연령대 중 가장 자산이 많은 소위 부자 세대에 꼽히는 세대는 5060세대인데
이 세대의 자산의 80%가 부동산이라고 합니다.
단점은 80%가 부동산이다보니 당장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이 부족하다는것이 단점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부동산은 굉장히 고가이기에 무리하여 구매하고 원리금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가구 자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한국의 가구 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은 몇 %인가요?
==>한국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70% 수준입니다. 다른 선진국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20-30% 정도 높은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가구 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은 약 70% 정도입니다. 부동산은 한국에서 주택 소유가 가구의 주요 자산 형태이며, 부동산 투자가 가구의 재산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