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시가표준액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건물의 재산세를 부과하기 위해 행정자치부장관이 산출하는 건물의 시가 표준액을 말잖아요~ 건물시가표준액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안녕하세요? 건물의 재산세를 부과하기 위해 행정자치부장관이 산출하는 건물의 시가 표준액을 말잖아요~ 건물시가표준액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 건물 시가 표준액 결정절차는 지방세법에 따라 정해지며, 매년 갱신됩니다. 표준액 결정절차는 기준 가격고시, 의견수렴을 통해서 결정된 후 고시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건물시가표준액은 건물의 구조, 용도, 위치, 연식 등을 고려한 국토교통부의 기준에 따라 매년 산정됩니다.
건물신축가격기준액에 구조별, 용도별, 위치별 지수와 경과연수별 잔가율을 곱하여 1m2당 금액을 산출합니다.
산출한 m2당 금액에서 1,000원 미만 숫자는 절사합니다. 다만, 1m2당 금액이 1,000원 미만일 때는 1,000원으로 한다.
여기에 내용연수가 경과된 건물은 최종년도의 잔가율을 적용하고, 마지막으로 가감산특례에 해당하는 건물은 산출가액에 일정률을 가감한 가액을 시가표준액으로 정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건물시가표준액은 건물의 재산세를 부과하기 위하여 행정자치부장관이 산출하는 건물의 시가표준액이며 건축신축가격액 x 구조지수 x 용도지수 x 위치지수 x 경과연수별잔가율 x 면적 x 조정율로 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시가표준액은 공식적으로 국세청에서 산출하고 공시하는 대상의 금액을 말합니다. 질문에서 행정자치부에서 산출하는 것은 공시지가로써 해당 공시지가는 국토부에서 표준지가 되는 토지등을 산정해여 가격을 측정하여 표준지공시지가를 만들고 각 지자체에서 이를 기초로하여 지역내 부동산에 대해서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하게 됩니다,
건물 시가표준액의 경우는 건물의 가치를 나타내고, 정부가 산정하는 가격이며 건물의 크기, 연령, 재료 ,구조등을 고려하여 산정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물의시가표준액은 건물의 재산세를 부과하기 위해 행정자치부장관이 산출하는 금액으로 소득세법 규정에 따른 건물신축가격기준액에 구조별, 용도별, 위치별 지수와 경과연수별 잔가율을 곱하여 1m2당 금액을 산출하고 내용연수가 경과된 건물은 최종연도의 잔가율을 적용하며 가감산특례에 해당하는 건물은 산출가액에 일정률을 가감한 가액을 시가표준액으로 정합니다. 따라서 다음의 산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건물의 시가표준액 = 건물신축가격 x (구조지수 x 용도지수 x 위치지수) x 경과 연수별 잔가율 x 면적 x 개별 건물 가감 조정률.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건물 시가표준액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반영하여 결정된다고 합니다
– 위치: 건물의 위치는 시장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 건물 유형: 주거용, 상업용, 산업용 등 건물의 용도에 따라 가치가 다르게 평가된다.
– 건물의 상태: 신축, 오래된 건물 여부는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인근 거래 사례: 주변 지역에서 비슷한 조건의 건물 거래 사례를 참고하여 평가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가표준액은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자료와 인근지역의 실거래가, 감정평가액등을 고려해 산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매년 결정하고 고시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건물 시가표준액을 구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시가표준액을 조회한 값과 건축물이 위치한 대지의 시가표준액을 조회하고 계산한 값을 합산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