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고금리와 부동산 시장 침체의 연관성이 어느정도인건가요

만일 금리가 장기간 높게 유지가 된다면 부동산거래에 대해 영향이 무조건 줄어든다고 봐야 되나요? 이런 현상이 금융시장과 가계 소비, 건설경기 전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난정부 시절에는 고금리와 규제로 인해 집값이 떨어지고 자재비 및 인건비 상승으로 원가가 상승한데다가 고금리로 인한 대출 상환 부담으로 아파트 미분양이 많이 발생하는 사태가 일어남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금리가 높게 유지되면 부동산 시장이 침체될 수 있으며 주식시장도 침체되고 유동성 악화로 인해 가계 소비도 줄고 건설경기도 나빠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금리가 높게 형성이 되게 되면 부동산 시장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선 건설사들의 PF대출 금리가 높게 형성이 될 경우 분양가격이 높게 측정이 될 것이고 분양가가 높은 경우 미분양의 위험도 커지게 됩니다. 또한 금리가 높을 경우 대출 이자가 비싸므로 매도세가 증가를 해서 부동산 가격도 하락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부동산 경기가 좋지 못할 경우 경기 악화와 소비 위축이 되어 경기침체의 위험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가가 높다고 금리를 올리지만 한편으로 경기침체의 위험도 공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고금리 정책은 부동산시장과 주식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먼저 투자자금의 경직성에 있습니다

    투자자금을 대출받을 때 이자부담이 늘어나게 되어 부동산 수요층이 이자부담증가로 감소되어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아울러 건설업체에도 이자비용으로 수익성이 감소되어 건설경기의 위축을 가져와 투자의욕이 감소됩니다

    가계소비 역시 이지비용은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게 되어 경기전반에 성장율 저하를 가져오게 됩니다

    그럼에도 고금리정책은 가계부채증가와 부동산가격 폭둥을 방지하려는 고육지책이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고금리는 부동산 시장, 금융시장, 소비, 건설경기에 직접적이고도 강력한 영향을 줍니다

    이자부담으로 모든것이 위축됩니다

    단기적으로는 거래 위축과 시장 침체가 거의 불가피하지만,장기적으로는 시장의 적응과 정책 대응 여부에 따라 영향의 크기와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고금리는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을 크게 증가시켜 수요자들의 주택 구매 의지를 약화시키고 대출 규제와 맞물려 주택 매매 거래량이 크게 줄어듭니다. 2025년에도 DSR 강화가 예정되어 있어 대출 조건이 더욱 엄격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상승으로 구매를 망설인 수요자들이 임대차 시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세가 상승 압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금리는 가계의 금융비용 부담을 늘려 소비 여력을 감소시키고 이는 전반적인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집니다. 금융시장은 투자 위험 증가와 자금 조달 비용 상승으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부동산뿐 아니라 상업용 부동산과 기타 자산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칩니다.

    소비 둔화는 건설업과 부동산 연관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쳐 고용 감소, 매출 하락 등 추가적인 경제 침체 요인이 됩니다.

    또한 고금리 상황에서 정부 정책과 시장 반응에 따라 완만한 안정화 기대와 함께 장기적인 경기 침체 우려가 상존할 수 있다고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장기적인 고금리 정책은 부동산 시장의 거래량과 가격에 강한 하락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금융시장과 가계경제, 건설경기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정책 효과와 시장의 반응은 시장 상황과 정책 방향성에 따라 무조건적인지 않고 유동적이라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만일 금리가 장기간 높게 유지가 된다면 부동산거래에 대해 영향이 무조건 줄어든다고 봐야 되나요? 이런 현상이 금융시장과 가계 소비, 건설경기 전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해요

    ===> 금리가 고금리인 경우 금융시장 및 가계 소비에 위축되고 건설경기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 대출이 위축되고 금융기관 리스크가 증대되면서 금융시장 전반에 유동성 부족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 : 이자부담이 증가와 심리가 위축되어 소비를 줄일 수 밖에 없습니다.

    3. 건설경기에 미치는 영향 : 주택 착공이 감소되고 주택공급부족으로 인하여 주택 부족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대출 이자 부담이 커져 실수요가 줄고 거래량과 가격이 동반하락합니다.

    건설사 자금조달도 어려워져 공급 위축과 경기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장기 고금리는 부동산 뿐만아니라 금융, 소비 전반의 침체요인으로 작용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