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느긋한왕나비257
느긋한왕나비257

수도권및 일부지역관 부동산 간격 양극화 관련 질문드립니다.

최근 서울 및 수도권의 일부 지역과 지방 도시 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한국 경제의 장기적인 지역 불균형을 얼마나 심화시킬 것으로 보시나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서울 및 수도권과 지방간의 아파트 가격 오름세가 차이가 심해지는 양극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인구감소와 더불어 인프라와 시설이 잘 갖추어진 수도권을 선호하는 사람들로 인해서 정부의 특별한대책이 없다면 갈수록 심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방의 도시들로 사람들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인프라와 교육시설, 공공기관, 교통시설, 판매시설, 문화시설 등 각종 시설 및 좋은 직장을 완비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이를 구축하기가 어렵다보니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양극화는 시간에 따라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동일한 서울지역내 양극화는 사실 똘똘한한채에 대한 투자및 거주수요가 높아서 발생하는 것이기에 투자패턴이나 시장분위기 변화에 따라 완화될 가능성은 있지만 문제는 수도권과 지방간의 양극화는 단기적인 시장 상승등으로는 해결되기 어렵습니다. 이는 지방의 소멸화와 인구감소가 장기적으로 더욱 심화될것이고, 그에 따라 부동산 시장에서도 수요감소에 따라 가격하락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격격차는 더욱 크게 벌어질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지방과 수도권간 양극화는 정부의 장기적인 지방활성화정책등을 통해 인위적인 발전이 필요하며 이러한 부분없이는 수도권 중심의 수요집중이 계속될것이기에 양극화는 심화될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일자리, 교육환경, 문화 인프라등 대부분이 좋은 것들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이 되다 보니 아이들이 대학교 부터 서울에서 생활을 하게 되고 또한 좋은 일자리 또한 서울에 있고 하니 점점 더 인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몰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주택 수요는 늘어나는데 서울 및 수도권의 공급은 제한적이라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게 되고 반면 지방의 경우 인구유출로 인해서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심해질 경우 시간이 갈수록 지방은 소멸될 것이고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인구가 몰릴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양극화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사명을 가지고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것들을 전국각지로 재배치해서 전국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는 나라도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집값 양극화는 단순한 시세 차이를 넘어서 지역 불균형을 크게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통계청 인구 이동, 한국부동산원 가격지수, 국토연구원 분석을 보면 집값이 강한 지역으로 사람, 일자리, 투자가 계속 몰리고 반대 지역은 인구와 수요가 빠지는 흐름이 뚜렷하거든요. 이런 구조가 누적되면 지방 중소도시는 경쟁력이 약해지고 수도권과의 격차가 지금보다 더 큰 폭으로 벌어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단순히 가격 차이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인구 감소 → 소비 축소 → 기업 투자 감소 → 지역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는 연쇄 효과가 누적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지역 불균형이 지금보다 훨씬 더 큰 폭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양극화는 장기적으로 지역 격차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일자리, 교육, 교통 인프라 집주응로 지속적인 수요를 받는 반면, 지방은 인구 유출이 이어집니다.

    이런 현상은 국가 균형발전 정책의 실효성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지방의 주택가격의 양극화는 당분간 유지되리라 봅니다

    양질의 일자리 찾아 수도권으로 몰리고 지방은 인구감소되기 때문에 쉽사리 해소되기 어려운 과제입니다

    장기적 해소방안은 권역별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어야 하는데 많은 정책적 배려와 기간이 소요되어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국토의 균형발달이 지체되는한 불균형은 한국경제에 많은 악조건으로 작용되리라 봅니다

    따라서 특정제조 산업과 산학연게릏 통한 대기업의 지방 분산에 대한 인센티브의 재정적 예산이 투입되지 않는다면 미래의 전망은 어둡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및 수도권과 지방 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한국 경제의 장기적인 지역 불균형도 심화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2025년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약 13억 원, 지방은 약 3.5억 원으로 약 9.5억 원, 3배 이상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주택 거래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매매가격도 상승세를 보이지만 지방은 정체 또는 하락세가 뚜렷해 지역 간 격차가 17년 만에 최대 수준까지 벌어졌습니다.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화돼 인구와 경제 자원이 몰리고 지방은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가 가속화되는 악순환이 발생합니다.

    청년층과 노동력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면서 지방 고령화가 심화되고 지역 경제 활력이 저하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가격 양극화는 한국 경제의 지역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는 중장기적으로도 계속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지역 균형 발전 정책이 필요하다 보여집니다

  • 최근 서울 및 수도권의 일부 지역과 지방 도시 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한국 경제의 장기적인 지역 불균형을 얼마나 심화시킬 것으로 보시나요?

    ==> 최근 서울 집값은 52% 상승한 반면에 지방은 5% 상승에 그쳤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 실거래가격 지수 격차느느 17년 만에 최대치로 벌어졌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수도권 인구집중과 지방 소멸에 가속도가 붙게 되고, 주거비 격차로 삶의 질에 불균현이 발생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