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기존주택판매 지수는 주택경기와 소비자 지출 변화를 파악하는 지표라고 하는데요?
기존주택판매 지수는 미국 전체 주택 시장의 80%를 차지하며, 주택경기와 소비자 지출 변화를 파악하는 지표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도 이와 비슷한 지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의 기존주택판매지수의경우 신축을 제외한 구축의 판매에 대한 지수로 높을 수록 주택 경기가 좋고 금리가 낮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축, 구축을 구분하는 지수보다는 국토부의 주택 매매거래량이나 한국부동산원의 주택매매지수등을 참조를 하게 되면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의 거래량과 매매지수를 알 수 있고 이러한 통계자료를 통해서 부동산 경기를 유추할 수 있으면 통상 금리가 낮고 경기가 좋으면 거래량과 지수가 올라가는 현상이 미국의 기존주택판매지수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거래량 통계
아파트 및 전체 주택 실거래량을 월별로 집계한 지표
실거래가 신고제도를 통해 수집되며, 기존주택의 거래 동향을 파악하는 데 가장 직접적입니다
국토부 및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합니다
이 지표가 미국의 기존주택판매 지수와 가장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부동산원 주택거래현황 통계
전국 및 시도별 주택 유형별(아파트, 연립, 단독 등) 거래량 통계 제공
거래건수 기준으로 월별, 분기별 추이 파악 가능
다만 지수화되어 있진 않고 추세 분석이 목적입니다
, KB부동산 매매거래지수
시장에 거래가 활발한지, 침체인지를 수치로 나타낸 심리지표
100 이상이면 거래 활발, 100 이하면 거래 위축
소비자 심리까지 반영된다는 점에서 미국 소비지표와도 연결 가능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한국은행, 국토연구원 등)
가계나 전문가의 주택시장에 대한 전망과 거래 의향을 조사해 산출
미국의 기존주택판매 지수가 경기 선행성을 가진 것처럼, 이 지표도 시장 분위기 예측 도구로 활용됩니다
기존주택판매 지수는 미국 전체 주택 시장의 80%를 차지하며, 주택경기와 소비자 지출 변화를 파악하는 지표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도 이와 비슷한 지표가 있나요?
==>우리나라에는 주택 매도, 매수세력과 관련하여 이를 지표화한 것은 "매수자 및 매수자 지수"를 평가됩니다. 100을 기준으로 하위로 떨어지면 매수세력이 떨어진 것이고 그 이상인 경우 매수세력이 점차 활성화가 되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 전체 주택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기존 주택 거래량을 통해 시장의 흐름을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이와 유사하게 주택 시장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여러 지표들 이 있습니다. 그 중 미국의 기존 주택 판매 지수처럼 '거래량'에 초점을 맞춘 지표로는 부동산 거래 현황 통계가 있습니다.
한국 부동산 원 등에서 발표하는 부동산 거래 현황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택(아파트, 단독/다 가구, 연립 /다세대 등) 매매 거래량 및 전 월세 거래량 등을 집계하여 보여 줍니다. 이 거래량 지표를 통해 시장의 활발한 정도나 매수 / 매도 심리 변화 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증가하면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고 볼 수 있고, 감소하면 관망세나 침체 국면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 시장의 전반적인 가격 변동을 파악하는 지표로는 주택 매매 가격 지수 가 있습니다. 이 지수는 기준 시점의 가격을 100으로 두고 현재 시점의 가격 수준을 비교하여 보여주며, 주택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러한 거래량 및 가격 지표 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주택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과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도 미국 기존주택판매 지수와 유사한 여러 지표들이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택가격동향조사가 그것인데요. 주택매매 가격지수와 주택거래량이 동향조사에 속하고, KB 부동산 월간 주택가격동향도 그에 준하는 지표들입니다. 마지막으로 공동주택 실거래 가격지수가 있는데요. 이것들은 미국의 기존주택판매지수와 비슷한 동향을 보여줄 수 있는 지표들이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에도 비슷한 지표가 있습니다. 이는 주택매매가격지수입니다. 전월 대비 집값이 얼마나 올랐는지/내렸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소비심리와 공급 불균형 흐름 또한 파악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의 기존주택판매지수와 비슷한 한국의 지표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기반 주택 거래량 통계입니다.
실제 주택이 매매된 건수를 집계합니다. 아파트 뿐만 아니라 단독,연립/다세대, 오피스텔 등 포함됩니다.
미국의 기존주택판매 지수와 가장 유사한 개념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