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빽빽하게 솟아있는 아파트단지들 이렇게 많은데 아파트를 자꾸 건설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부동산고수가 되고싶은 누구보다입니다.
우리나라에 아파트가 엄청많은것같은데요.
매번 부족하다고 더 짓는것같네요.
서울을 보면 빽빽하게 아파트숲같은 느낌이 드는데요 공급부족이라는 발표와 함께 아파트 건설을
하는데 왜 이렇게 계속 짓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재개발과 재건축으로 공급을 하는것이라 조합분을 주고 나머지만 일반 분양을 하는것이라 공급을 많이 못하는 실정입니다
그래서 공급이 부족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서울의 경우 인구쏠림이 심하고 기존 아파트의 경우 노후화가 점점 심해지고 또한 1~2인 세대가 급증을 하다보니
아파트 수요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또한 공급은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다 보니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서 서울 집값이 계속올라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서 답을 말하신듯 보입니다. 말그대로 주택보급률이 100%에 가까워져도 아파트 보급률이 100%가 아니라면 사실상 아파트 공급은 계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파트에 대한 주택선호도가 높고 지금은 아파트가 아닌 빌라나 단독주택에 거주를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아파트 거주를 희망하기 떄문에 수요가 계속 유지된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투자에 있어서도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많기 떄문에 결국 공급부족이 발생할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주택을 1세대가 1주택만보유할수 있는것도 아니기에 일정시점까지는 계속 공급이 될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주요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하여 가격이 오르고 있는데 그 이유는 통계청 수치상으로 볼때 서울의 아파트 호수가 우리나라 전체의 평균대비하여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주택보급률 또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100을 넘어가지만 서울은 93.7로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방에는 미분양이 날 정도로 공급이 부족하지 않지만 서울은 여전히 주택, 그 중에도 아파트를 찾는 사람이 많아서 잠재적인 수요가 존재하는데 고금리와 경제 위축으로 수요가 억제되고 있다가 최근 전세가 상승, 분양가 상승에다 금리인하 기대감이 겹치며 서울 주요지역 위주로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동산은 특성상 이동이 불가하므로 선호지역의 아파트는 그 숫자도 한정적이고 대체 불가하므로 선호지역 위주로 수요가 생겨서 공급이 필요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더구나 노후 주택이 증가하여 대체 주택 건설도 시급한 실정입니다.
새집에 대한 수요는 늘 넘쳐납니다.
수십년된 집들까지 포함하면 집 자체는 이미 가구수 대비 충분히 많지만 문제는 소득과 자산이 늘어나는것대비 해서 그 사람들이 소비할 수 있는 새집은 늘 부족합니다.
그렇게 지어도 소비가 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짓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신주택보급율로 헌산하연 사울의 주택보급율은 아직도 91%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절대적인 수요량에 비하여 공급량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내년도에는 주택공급 계획량이 감소되어 정책당국은 재개발. 재건축의 규제를 대폭 개선하여 공급량을 높이기 위해 에 많은 고심을 기울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높은 인구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토지 부족문제가 겹처 신규 아파트 공급이 부족합니다.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존재하기 때문에 아파트 건설은 주택 공급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 계속해서 아파트를 짓고 있습니다.
서울은 이미 지리적으로 좁은 면적에 고도로 발전된 도시로 새로 건설할 토지 공간이 부족하여, 수직적으로 확장을 통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거 형태로 공급을 해야 합니다.
높은 주거 수요 및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상업적 이익 등 다양한 요소로 서울의 아파트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