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땅에 콩만 심어도 바로 콩이 나올정도로 땅의 품질이 좋아서 아무거나 심어도 좋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는 어떤 등급에 해당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미국에서는 땅에 콩만 심어도 바로 콩이 나올정도로 땅의 품질이 좋아서 아무거나 심어도 좋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는 어떤 등급에 해당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토양은 대체로 비옥한 편이나, 자연적인 산지 지형이 많아 경사지와 같이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땅도 많습니다. 경사지 토양은 물 빠짐이 좋고 일부 작물에는 적합하지만, 농사에 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평야 지역은 한국에서 농업 생산성이 높은 지역입니다. 이 지역들은 비옥한 토양과 함께 물 자원이 풍부하여 논농사와 밭농사에 적합한 토지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의 토질은 대부분 산성 토양이며, 유기물 함량이 적고 양분 보유력이 약합니다. 토질에 따라 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토질을 개량해야 합니다. 토질 개량을 위해서는 석회질 비료나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여 토양의 pH를 높이고 유기물 함량을 높여야 합니다. 토양 검정을 통해 토질을 분석하고, 적절한 비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1등급땅은 지구면적의 3%밖에 안되는데 이중 절반에 가까운 46~7%이상이 미국에 몰려있다고 합니다
말그대로 씨앗만 뿌려도 농사가 성공할 정도로 비옥한 축복받는 땅이라고 합니다
이땅을 경작했을때 실패율이 10~15%도 안될정도로 좋은 질의 최상급 땅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의 농업용 토양은 대체로 중간 정도의 비옥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은 농업에 적합한 토양이 많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산지가 많고 경작 가능한 토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미국처럼 모든 지역에서 쉽게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은 날씨가 좋아 농작물 경작이 유리합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4계절의 장점은 있지만 농작물 경작하기에는 단점이 있습니다.
겨울이 있기에 경작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토질등급은 식물이 자라나는 토양의 성분을 등급로 구분되는대 최싱급인 1급부터 8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등급에 의하면 우크라이나와 미국의 일부지역은 1등급에 속하여 농업실패율이10%만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전역은 1급에서 4등급군에 속하여 대체로 농사짖기에 좋은 기름진 토양을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가장기름지다고 하는 호남평야가 5등급에 속하고 기타 지역은 6.7등급에 속하고 있습니다
농사에는 토질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랴 논농사는 기후와 강수랴에도 커다란영햐을 미치기도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