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궁금돌이
궁금돌이

최저시급이 가지고 있는 의미에 대해 알려주세요.

2025년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최저임금제도가 가지고 있는 의의와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십시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위해 법적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임금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고, 빈곤 감소와 경제적 평등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최저시급은 말 그대로 1시간 시급의 최저선을 정한 것으로

    노동에 대한 최저 대가를 규정하여 저임금 근로자 보호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제는「대한민국헌법」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임금격차 완화, 소득분배 개선, 노동 생산성 향상, 경영 합리화 등의 효과와 함께 궁극적으로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 제도는 근로자의 최저생활 이상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아울러 소비 진작을 도모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성균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은 국가에서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여

    최소한의 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임금을 주도록 나라에서 기업에 강제하는 제도입니다.

    도움되셨다면 👍버튼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최소 위 금액 이상의 임금계약을 정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은 최저임금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결정 및 적용됩니다.

    최저임금법은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최저임금은 최저임금법의 목적에 따라 근로자의 최저임금수준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최저임금위원회 홈피 참고하세요.

    https://www.minimumwage.go.kr/minWage/about/main.do

    개념
    •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사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임

    • 최저임금제도 목적

      • 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함(최저임금법 제1조)

      • 최저임금제도의 실시로 최저임금액 미만의 임금을 받고 있는 근로자의 임금이 최저임금액 이상 수준으로 인상되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옴.

        • 1. 저임금 해소로 임금격차가 완화되고 소득분배 개선에 기여

        • 2. 근로자에게 일정한 수준 이상의 생계를 보장해 줌으로써 근로자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근로자의 사기를 올려주어 노동생산성이 향상

        • 3.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경쟁방식을 지양하고 적정한 임금을 지급토록 하여 공정한 경쟁을촉진하고 경영합리화를 기함.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사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2. 이러한 최저임금제도는 저임금 해소로 임금격차가 완화되고 소득분배 개선에 기여하고 근로자에게 일정한 수준 이상

      의 생계를 보장해 줌으로써 근로자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근로자의 사기를 올려주어 노동생산성이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경쟁방식을 지양하고 적정한 임금을 지급토록 하여 공정한 경쟁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3.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자영 노무사입니다.

    힘의 우위에서 사장님보다는 상대적 약자이기 때문에 근로자의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하기 위한 목적이 최저임금의 존재이유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