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세대 경매가 유독 많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최근 아파트 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많이 낮은 다세대 주택의 경매가 많은데 왜 그런지 궁금하네요.
심지어 소형 평수도 많아서 이해가 안되네요.
요즘전세사기가 많다고 뉴스에서 많이 봤을겁니다
전월세가 안나가는 바람에 임차인들이 임차권등기명령을 통해서 전세금을 받아서 나갈경우 임대인이 돈을 못돌려줬을경우 경매에 많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또 보증보험을 통해서 전세금을 받아서 나가면 보증보험에서 구상권을 청구하는데 임대인이 제때에 처리를 못하면 또 보증보험에서 경매신청을 합니다
이런건들이 무수히 많다보니 다세대나 소형아파트들이 경매건들이 많은거 같습니다
임대인들이 여러채를 가지고 전월세를 운영하다 집값이 떨어지고 전세가가 내려가면 임대인이 전세가를 내려서 방을 빼면 그래도 괜찮은데 한건을 해결못하면 도미노처럼 쓰러지는 현상들이 많아서 이지경까지 온거 같습니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를 찾는 사람이 줄고 전세금반환보험 가입기준 강화에다가 빌라 공시가격 하락이 겹쳐져, 가능한 전세 대출금이 줄고 그로인해 전세 연장에도 문제가 생기고 보증금 반환을 제때에 못하다 보니 경매까지 이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아파트에 비해 다세대주택의 소유자들이 경제적으로 더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원인입니다.
경매의 대상물이 아파트가 다세대보다 많다라고 정해진 바가 없기 때문에 다세대가 많이 나온다고 해서 특별한 이상한 것은 아닙니다, 경매특성 채권미상환에 따른 채무자가 많아진게 이유가 될수 있고 가장 가능성 높은 이유는 아파트와 다르게 다세대 (특히 빌라등)은 전세가율이 높기 때문에 최근 부동산가격하락에 따른 깡통전세, 그리고 이로인한 전세보증금 미상환으로 경매에 넘어가는 다세대 주택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도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파트의 경우에도 전세가율이 일정수준이하로 유지가 되기때문에 전세세입자의 경매신청이 많지는 않은편이나, 영끌등으로 인해 소유자가 채무를 감당하지 못해 설정된 근저당에 따른 임의경매가 진행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최근 아파트 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많이 낮은 다세대 주택의 경매가 많은데 왜 그런지 궁금하네요.
심지어 소형 평수도 많아서 이해가 안되네요.
==> 우선적으로 단독, 다가구 주택은 거래사례가 적고 또한 전체 건물 가격대비 보증금이 높아서 보증보험 가입도 불가하여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면서, 보증부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다세대·연립주택의 전세 거래량이 감소하고, 경매 매각 건수가 증가하였습니다. 임대인이 부채나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거나 전세금 반환에 실패하여, 다세대·연립주택이 경매시장에 나오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과거 저금리 시절에 높은 전세가율을 이용한 갭투자가 많았으나, 최근 금리 상승과 전세사기 우려로 인해 관련 전세 거래가 감소하였습니다. 서울시 다세대·연립주택의 전세가율이 높아지면서, 매입 수요가 줄어들고 경매 진행 건수가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다세대 주택 경매 증가에 기여하고 있으며, 특히 전세사기와 임대인의 채무불이행이 주된 원인으로 보입니다.
아파트의 경우 다세대주택에 비해 대출도 많이 나오고 회전율도 빠릅니다. 요즘 전세가가 떨어지다 보니 보증금을 제대로 반환을 못하다보니 세입자가 경매를 신청한 경우로 보입니다.
다세대(빌라)가 상대적으로 전세가율이 높아서 전세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2억 빌라에 전세를 1억8천 정도씩 받으니 세입자가 나갈때 보증금 반환이 제때 안되고 경매로 넘어가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