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보통은착한돈나무
보통은착한돈나무

두개골 골절인가요 아니면 착각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0대

레슬링하다가 상대 무릎에 머리를 세게 맞았는데 귀 위쪽이 움푹 들어간 느낌이 듭니다 반대편 같은 부분이랑 비교해봐도 옴폭 들어간 느낌인데 맞은 부위 주변도 부어서 느껴지는 착각인가요

씹을때랑 입 벌릴때 통증 느껴지고 누르면 아프네요

검지손가락 한마디만큼 크기고 누르면 쿠션감같은게 있네요

이외에는 다른 이상은 없는것같습니다

병원을 가야할까요

병원을 가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머리를 강하게 맞은 뒤 움푹 들어간 느낌·누르면 통증·씹거나 입 벌릴 때 통증이 함께 있다면, 보수적으로 보자면 두개골 골절·측두골 골절·연조직 함몰 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손으로 만졌을 때의 ‘오목함’은 부종이 주변을 부풀리면서 착각처럼 느껴질 수도 있고, 반대로 국소 함몰 골절일 때도 비슷하게 만져질 수 있습니다. 겉으로 보이는 정상 여부만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씹을 때/입 벌릴 때 통증 → 관자놀이 주변 골절, 턱관절 주변 충격 시 흔함, 누르면 아픔, 쿠션감 → 부종·혈종 가능성

    이 조합은 영상검사(CT) 없이 안전하게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가야 하는 병원

    가급적 응급실(응급의학과) → 두부 외상은 CT가 가능한 곳에서 확인하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응급실이 어렵다면 신경외과 또는 이비인후과(두경부 전문) 중 한 곳으로 바로 가는 게 현실적인 선택입니다.

    지금처럼 신경학적 증상(어지러움, 구토, 시야 이상, 의식 변화)이 없어도

    함몰 골절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통증·부종·출혈로 더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지연 진료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보수적으로 판단해서라도 CT 확인을 받는 게 안전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머리에 강한 충격을받고나서 움푹들어간느낌이든다면 함몰골절이나 뼈의변형, 손상이생겼을수있습니다

    따라서 통증과불편감이있다면 집에서 관리하기보다는 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해 엑스레이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하빈다!

  •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레슬링 중 무릎에 머리를 강하게 맞았고 귀 위쪽이 움푹 들어간 듯한 느낌이 든다면 매우 심각한 상황일 수 있으니 즉시 병원에 가보셔야 합니다. 이 증상은 심한 부종의 착각일 수도 있지만, 두개골 또는 광대뼈 주변의 골절이거나 내부 출혈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씹거나 입을 벌릴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것은 턱관절이나 주변 근육의 문제일 수 있으나, 외상에 의한 것이므로 함께 진단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두개골 외상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질문의 내용으로 보아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손상 부위를 압박하거나 충격을 가하지 마시고 통증과 불편이 있으시다면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빠른 쾌유하시길 바라며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로썬 움푹 들어갔다는건 일시적일 수 있지만 함몰 골절이 나타날 수 있으며 다른 증상들을 봤을 땐 턱관절의 손상, 연부조직의 붓기 등 복합적인 증상이 보입니다.

    빠른 시일내에 응급실 또는 신경외과에 가셔서 현재 상황을 내용 전달 후 검사를 받고 조치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레슬링을 하다가 외상을 당했는데 그로 인하여 두개골에 골절이 생겼을지가 궁금하셨군요

    일단 골절의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모든 외상에 있어서 "골절 가능성은 없다"라는 이야기는 못합니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으니까요. 단지 두개골의 경우 인체내에서 가장 단단한 뼈에 속합니다. 그리고 두개골 골절이 발생할 정도의 충격이라면 사실 더 걱정하는 것은 뇌출혈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환자분의 정황상 가능성은 높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있고 지속이 된다면 확인을 해보셔야 할 텐데요...두개골골절의 경우 CT로 확인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엑스레이는 심한 경우에는 보이지만 심하지 않은 경우는 보이지 않거든요...그렇다고 CT만 촬영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엑스레이 촬영하고 CT를 촬영하시면 충분하실 것 같습니다.

    진료과의 경우는 신경외과가 해당과가 되겠습니다. 하지만 외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굳이 신경외과를 방문하지 않아도 알 수가 있습니다. 가시려는 병원에 연락을 하셔서 문의를 해보시면 정확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과도한 충격을 받았다면 검사를 해보는게 좋습니다.

    ct촬영이 가능한 신경외과 방문해서 진료 보십시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외부에서 충격 후 골절 여부가 걱정되시겠으나 적어주신 내용만으로는 알기 어렵고 신체 진찰과 엑스레이의 확인이 필요하므로 신경외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볼 것을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머리부위에 가해진 타박상으로 인해 주변 연부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며 붓기나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입을 움직이거나 목을 움직일 때 주변이 자극되어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려가 되는 경우나 통증이 점차 심해지는 경우, 혹은 어지럼증이나 힘빠짐 구토와 같은 이상증상이 발생할 때에는 병원에 방뭉하셔거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까운 응급실이나 신경외과, 정형외과등의 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이 좋겠고 진료와 검사를 받아보시고 전문의 소견을 들어보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 두개골 골절 여부를 이야기 하시는 외관적인 소견만으로 구체적으로 파악 및 감별 진단 내릴 수는 없습니다. 확인을 위해서는 적어도 엑스레이, 이상적으로는 CT 검사를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더불어 두개골 골절이 있다면 보통 급성 뇌출혈 등 다른 문제도 동반이 되기 때문에 걱정되고 우려스럽다면 실질적으로 진료 및 검사를 통하여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