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파란만장기러기19
파란만장기러기19

청소년기의 운동 부족이 성인기에 비만과 대사 증후군으로 이어지는 과정

안녕하십니까.

청소년기의 운동부족과 관련하여, 이러한 부족이 성인기의 비만이나 또는 대사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는데, 그 과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했습니다.

    청소년기에 운동이 부족하면 근육량 발달과 기초대사량이 낮아지며 체지방이 쉽게 축적이됩니다.

    성장기에 형성된 생활습관은 성인기까지 이어져서 신체활동이 부족한 청소년은 이후에도 활동량이 낮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낮은 활동량과 에너지 불균형은

    인슐린저항성

    복부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 이상을 촉진합니다.

    특히 근육량 부족은 혈당 조절 능력을 약화시켜서 대사증후군 위험을 높이게 됩니다.

    즉 청소년기의 운동 부족은 신체 구조적 변화와 생활습관 고착을 통해서 성인기의 비만과 대사 증후군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겠습니다.

    답변에 참조가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음... 이게 무조건은 아니고요

    태생이 기초대사량이 높은분은 제외이긴 해요

    운동으 부족해 지면 몸에 활동량 그리고 기초 대사량이 줄어들게 되요

    그러면 조금만 먹어도 비만을 ㅗ이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는 ㅁ과정이죠

  • 안녕하세요.

    운동 부족만으로는 100%성인병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위험도기 높아집니다.

    청소년기는 근육을 포함하여 모든 것이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특히 근육의 발달은 매우 중요합니다. 근육은 기초대사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당과 지방을 태우는 역할을 합니다. 이 시기에 운동을 하면 그 효과가 배로 늘어갑니다. 실제로 근육이 빠지는 시기가 30대 후반인데, 근육의 빠짐이 덜하게 되어 비만과 당뇨가 오지 않습니다.

    또한 운동은 체내 지방을 태우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의 비만은 비만세포의 증식 또는 비만세포 내에 지방이 끼는 경우 두 가지 매커니즘으로 진행됩니디. 보통 어릴때는 지방이 끼는 것이 아니라 지방세포가 증식합니다. 문제는 지방이 끼면 빼면 되는데 지방세포의 증식은 세포를 죽이거나 해야하나 쉽게 죽지 않습니다. 청소년기의 발달은 지방세포의 증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운동은 지방세포가 증식되는 것을 막습니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운동 자체는 당장에 어떤 효과를 제시하기 보다는 향후 성인병의 유발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