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추억의발라드
추억의발라드

주 4일 근무하자고 공약을 하는데, 그럼 기업들은 어떻게 하라는 것인가요?

주 4일 근무를 공약으로 내세우면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일당제로 받는 사람들은 그 변화로 인해 손해를 보는 것 같아서 걱정이 되고요.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하려면 기업들이 근무 시간이나 급여 체계를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도 궁금하고, 또 그런 변화가 일자리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임금체계, 근로시간 제한 등 많은 변화가 있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고, 한번에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주 4일제 도입 시에는 비즈니스 모델 재설계,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 인력 관리 전략 조정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인력 운영 방안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인력 채용 및 교육 계획을 수정해야 하고 단순히 근무 시간 단축이 아닌, 생산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그냥 허황된 공약일 뿐입니다

    지금 주52시간 제한만으로도 기업들 경쟁력 떨어지고 난리인데 무슨 주4일제...

    정치인들이 그렇지만 저딴 헛소리하는 후보가있다면 현실인식이나 정책에 대한 수준을 엿볼 수 있는거죠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주 4일 근무제가 도입되려면 법 개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바, 아직 사회적 합의가 이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알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주 4일제가 시행된다면 생산성의 유지를 위한 방안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 직종이나 업종의 경우 소득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노동시장의 개편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기업의 생산성, 인건비 부담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