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전세가 는 매매가 의 몇퍼센트 정도 인가요?

우리나라는 전세 라는 제도가 있잖아 요 전세가격은 매매가 에 몇 프로 정도 인가요????? 정상적인 전세가 라면 몇프로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창효 공인중개사
    유창효 공인중개사
    대한 공인중개사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해당 부분을 전세가율이라고 하는데, 주택의 유형, 지역, 각 매물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아파트이 경우는 50~60%사이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고, 빌라나 오피스텔의경우 70~80%정도까지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주택가격이 하락할 경우 깡통전세등의 위험성이 빌라등이 높을수 있는 것이고 , 아파트는 주택시세가 정확하기 때문에 해당 전세가율유지가 가능하지만, 빌라의 경우 시세가 부정확하기 떄문에 임차인의 확인에도 불가하고 실제 해당 전세가율에 계약을 진행하는경우가 많은편입니다 그에따라 전세보증보험에 가입이 불가한 매물에 대해서는 계약을 피하시는게 가장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마다 다 다르겠지만 전세가는 매매가 대비 60~70%정도로 형성이 되고 인기가 좋은 곳은 80%까지 육박하는 경우도 있고, 입주장에 공급이 많은 지역은 50%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전세가율의 경우 보통 50%정도에서 60%사이입니다. 물론 갭투자의 경우 더욱 큰 경우도 있지만 이는 전세사기 등으로 문제가 있는 편이고 보통 아파트의 경우 50%가 많습니다. 또한 신축 및 공급물량이 많은 아파트가 많은 지역의 경우 40%까지도 있는 편입니다.

  •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아파트는 대략 50~60% 정도, 빌라는 80~90% 정도 함니다.

    안전하려면 적어도 70%는 넘지 않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의 매매가격에 대한 전세가격의 비율을 전세가율이라고 하는데 KB 월간시계열 자료에 의하면 2024년 6월현재 전국의 전세가율은 종합 64.5% 였으며 서울시는 종합 58.3%였습니다. (서울시 아파트 53.7%, 단독주택 44.5%, 연립주택 70.9%) 전세가율이 높으면 다음 세입자 구하기도 힘들고 경매가 되는 경우 보증금을 변제받기도 어렵기 때문에 가급적 낮은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60~70%이하인 곳으로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수도권은 70프로 정도 보시면 되시고 정상적인 전세가라는 것은 없고 안전한 전세가라는 것은 있습니다.

    60~70% 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전세 라는 제도가 있잖아 요 전세가격은 매매가 에 몇 프로 정도 인가요????? 정상적인 전세가 라면 몇프로 인가요?????

    ==> 지역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지만 평균 전세가율은 60%을 기준으로 5%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매매가격대비 전세가율이 70%이상 보증금 보호에 위험할 수도 있는 만큼 계약을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상태에 따라 전세가가 다릅니다

    새집이라면 집값의 80%까지도 갈수있고 보통은 50~70%정도이고 재건축이나 노후화된 주택은 더 낮을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