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김치를 짜게 만들어질 경우 우리 몸에 어떤 부정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나요?

김치를 담글때 즉 간이 매우 강하게 되어서 짜게 만들어질게 될경우 우리 몸에 어떤 부정적 효과가 전방위적으로 나타나게 될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했습니다.

    김치를 짜게 담가서 과하게 드실경우 우리 몸에는 여러가지 부정적인 영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조건은 하루 500g 내외로 매일 꾸준히 드셨을 때입니다.

    1

    혈관 측면에서는 과도한 소금이 혈액속 체액량을 늘려서 혈압을 상승시키고, 장기적으로 고혈압, 심혈관 질환, 뇌졸중 위험을 높이게됩니다.

    2

    신장은 체내 염분을 배출하기 위해서 과부하가 걸리고 신장 기능저하, 신부전 위험이 있습니다.

    3

    위장 건강에도 어느정도 영향을 주는데, 소금에 절여진 음식은 위 점막을 자극해서 위염, 위궤양, 위암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게 됩니다.

    4

    대사 측면에서는 체내 전해질 균형이 무너지며 부종, 갈증, 피로가 쉽게 생길 수 있고, 칼슘 배설이 늘어나 골다공증 위험도 커집니다.

    5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쳐 염증 반응을 악화시킨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김치를 짜게 담그면 저장성은 높아질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심혈관, 신장, 소화기, 골격계 전반에 걸쳐서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김치가 지나치게 짜게 제조될 경우에는 나트륨을 과도하게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압을 높여 고혈압같은 질병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 고나트륨 섭취는 체내 나트륨과 칼륨의 균형을 깨뜨려 수분 저류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여 고혈압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고혈압은 심혈관계 질환신장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과도한 나트륨은 칼슘의 배출을 증가시켜 골밀도를 낮추고,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짜게 먹는 식습관은 위 점막을 손상시켜 위염이나 위암의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며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것처럼 김치를 짜게 만들면 발효식품의 장점을 상쇄하는 효가가 나타납니다.

    1) 고혈압: "짜다"는 것은 고혈압과 매우 연관성이 높습니다. 짠것을 희석시키기 위하여 수분섭취가 많아지면 혈관에 받는 압력이 증가하여 혈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고혈압 뿐만 아니라 심장의 펌프 역할에 부담을 줘서 심혈관질환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신장 악화: 신장에서는 나트륨을 계속 배출해야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부담이 가해지게 됩니다.

    3) 위와 장 자극: 위와 장을 계속 자극하는 자극적인 음식이 됩니다. 짠것 뿐만 아니라 맵기 까지 한다면 더더욱 자극되어 조직이 손상됩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