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아파트하고 공장하고 중개수수료가 틀리나요?
안녕하십니까?
아파트하고 공장하고 중개수수료가 틀리나요?
그러니까 주택, 임야, 전답, 공장등 여러 부동산 거래시 중개수수료가 각각 어떻게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중개보수 거래유형은 주택 또는 비주택으로 구분됩니다.
1. 주택인 경우 거래금액에 땨라 중개보수율이 상이하지만
2. 비주택인 경우 중개보수율은 0.9%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거래유형과 거래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경우 매매와 임대차의 요율이 다르고, 거래금액의 구간에 따라 상한요율이 달라집니다. 공장과 같은 비주거용 부동산의 경우 매매와 임대차의 요율이 같고, 거래금액에 상관없이 0.9% 이내로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를 5억원에 매매하는 경우, 중개수수료는 거래금액의 0.4%인 200만원이고, 부가세 10%를 포함하면 220만원입니다. 공장을 5억원에 매매하는 경우, 중개수수료는 거래금액의 0.9%인 450만원이고, 부가세 10%를 포함하면 495만원입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거래금액을 알아야 합니다. 거래금액은 매매의 경우에는 실거래가이고, 임대차의 경우에는 환산보증금이라고 합니다. 환산보증금은 보증금과 월차임을 특정한 공식에 따라 계산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를 보증금 3천만원, 월차임 120만원에 임대하는 경우, 환산보증금은 3천만원 + (120만원 x 100) = 1억 5천만원입니다. 이 금액에 임대차 요율을 곱하면 중개수수료를 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중개보수는 주택과 주택외로 나누어집니다. 주택의 경우 매매계약인지, 임대차인지, 그리고 거래금액에 따라 적용요율에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지역에 따라서 시도조례에 따라 법정요율보다 낮을수도 있기에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보통 0.3~0.7%까지 적용됩니다.
그리고 주택외는 매매,임대차여부와 관계없이 거래금액의 0.9%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중개수수료는 물건별로 중개수수료 요율이 다릅니다. 금액에 따라 다르지만 주택이 평균적으로 저렴한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