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빌딩의 수명은 어떻게 되나요?
아파트들 재건축이 한창인데 외국은 옛날 건물 그대로 보수해가며 사는데 우리나라 건물은 단순히 돈문제 때문에 부수고 다시 짓는건가요?
우리나라 아파트 재건축 안전진단 하는 기간이 30년이 지나면 합니다. 즉 우리나라 아파트는 30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수명을 다했다고 생각하고 안전진단을 해서 재건축 여부를 판단하지만 요즘 안전진단 안해도 재건축 가능하게 합니다. 즉 한 30년 지나면 건물의 노후화가 심하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콘크리트건물은 수명을 약100년정도 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30~40년정도 되면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하는 추세 입니다.
정확히는 상가보다는 아파트의 경우 재건축의 이슈로 실제 사용가능한 연식보다 빠르게 철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동산 유형을 떠나 콘크리트로 된 건물의 경우 최소 40~50년은 사용이 가능합니다. 외국의 경우도 이보는 더 길게 사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다만 주거용으로써 아파트의 경우는 관리적인 측면이나 거주상 불편함에 대한 부분보다는 재건축을 통한 가치상승을 목적으로 하기 떄문에 대부분 안전진단이 가능한 30년경과이후 재건축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건설교통부가 제정한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의 수명을 65년으로 정하고 있답니다
실제로 관리만 잘하면 70~80년은 간다고 합니다
중소형 빌딩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면서 내력벽과 슬래브가 있으면서 하중부담을 위해 추가적으로 보와 기둥이 있어 구조적으로 튼튼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빌딩의 수명은 사실 짧지 않습니다. 30년이상 50년이상이 되었다 하더라도 아직은 무너지지않고 잘 살고있는 건축물이 많습니다.
다만 오래될 경우 붕괴우려 안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전에 다시 재건축 재개발을 하게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개발이 월등히 높을때 지은것들이 아닙니다.
절 과같이 나무라 하더라도 몇 백년이상이 되는 건축물 들이 있으나 사실 우리나라의 건물의 시작은 당장 살아야 할 집들을 짓고 이를 개발하면서 많은 이익을 남기면서 시작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는 개념은 아니었습니다.
우리나라 아파트의 수명이 외국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짧은 이유는 대부분 아파트는 벽식 구조로 만들어집니다. 이 구조는 외국에서는 주로 서민 아파트나 기숙사에만 사용되는데, 벽식 구조는 배관 교체나 구조 변경이 어려워 리모델링이 제한적입니다.
또한 벽식 구조는 이웃 간 소음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슬래브(수평)과 벽(수직) 구조가 면대 면으로 만나 일체화되어 있어 슬래브에서 울리는 진동 소리가 큰 소리로 아래로 전달됩니다. 한국 아파트의 약 98.5%가 벽식 구조입니다. 반면, 기둥식 구조를 적용한 아파트는 유지보수와 리모델링이 쉽고, 주거 공간을 더 유연하게 재배치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이득이 되면 '부수고 본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특히 30년 이상 된 예전의 저층 아파트들은 다시 허물고 수직으로 증축하여 세대수를 늘리는 경제적 논리에 따라 재건축을 선택합니다. 아파트를 지을 때 100년을 염두에 두기보다 30~40년을 염두에 두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장수명 주택은 설계 단계부터 주택에 걸리는 하중을 기둥으로 지탱할 수 있는 기둥식 구조를 적용합니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와 리모델링이 쉬워지며, "재건축 없이 100년 살 수 있는 주택"이라는 수식어가 붙습니다.
정부도 장수명 주택 도입 확대를 고려하고 있으며, 주택 시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주택가격을 유지 혹은 약보합 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파트들 재건축이 한창인데 외국은 옛날 건물 그대로 보수해가며 사는데 우리나라 건물은 단순히 돈문제 때문에 부수고 다시 짓는건가요?
==> 경제성이 있는 경우 현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건축할 수 있지만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적인 가치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는 사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