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원 비용에 대한 규정은 없는건가요?!
출생률이 늘어나는걸 방해하는 요인중에는 조리원 비용도 한몫한다고 하는데, 조리원 비용 규정은 없는건가요? 업체가 정하는대로 나오는건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조리원 비용의 경우 정부가 직접적으로 가격을 규제하거나 상한선을 설정한 규정은 없고,
시장 논리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정해지고 있습니다.
시설의 크기, 방의 프라이버시 수준, 제공되는 식사와 프로그램 등에 따라서도 비용이 크게 차이를 보이며,
수도권과 지방의 조리원 비용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조리원 비용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하나 입니다. 정부 차원에서 공공조리원 확대나 비용 투명성 강화 같은 간접적 조치를 시행 중이긴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더 저극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조리원 비용(산후조리원 이용료)에 대한 규정은 현재로서는 법적으로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산후조리원 비용은 주로 시장 원리에 따라 결정되며, 시설의 위치, 서비스 수준, 시설 등급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시설좋고 관리가 고급스러운 곳은 매우 비싸고 그 보다 조금 덜 한 시설의 조리원일 경우는 가격이 조금 저렴한 곳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공산후조리원의 가격은 2016년 기준으로 190만 원으로, 이 정도가 하한선이라 보는 것이 좋고 그마저도 모자보건법에 의하여 공공산후조리원을 늘리려고 하지만, 현재 이용가능한 공공산후조리원은 전국에 4개밖에 없다고 합니다.
2016년 4월에 보건복지부가 2015년 12월을 기준으로 발표한 전국 평균 산후조리원 요금은 225만 원이라고 하는데 일반산후조리원은 훨씬 비싼 가격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비스종류에 따라서 5~6백만원 정도하는곳도 있는거 같습니다
갈수록 가격이 올라가는거 같습니다
출생률이 늘어나는걸 방해하는 요인중에는 조리원 비용도 한몫한다고 하는데, 조리원 비용 규정은 없는건가요? 업체가 정하는대로 나오는건지요!
==> 혹시 조리원 비용이라는 것과 출산율과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질문을 하여 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급니다.
민간산후조리원은 비용을 국가에서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별 다른 규정이 있진 않습니다.
다만 공공산후조리원을 만들어 조금 더 저렴하게 산후조리를 받도록 정책을 만들어 운영 중에 있지만 많이 있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은 완전 경쟁시장으로 통신사 등 독점시장이 아닐 경우, 시장 경제 가격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조리원 비용에 대해서도 규제가 적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됩니다.
네, 업체별로 정하는 금액으로 운영됩니다. 물론 산모에게 제공되는 시설의 상태나 규모, 제공되는 서비스 ,그리고 수요정도에 따라서 금액 산정이 달라질수는 있으며, 고가의 산후조리원부터 저가의 산후조리원까지 매우 다양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나 최근처럼 출생률이 낮은 경우에는 산후조리원 자체도 많지 않고, 산모들이 평생에 한번이나 많아야 두번정도만 이용을 하기 떄문에 산후조리원들 중에서도 프리미엄 시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리원에 대한 수요가 더 높은 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가격도 점차 높아지게 되는 듯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