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불타는 나방7787
불타는 나방7787

앞으로 한국 부동산시장의 전망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5년전부터 오른 집값이 조금 떨어지는가 싶더니 다시 오르고 있는거 같더라고요.

앞으로의 추세는 어떻다고 전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서울은 공급이 부족해서 오른다고보시면 됩니다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더오른다고 보고 있습니다

    재건축이나 재개발로 공급을 늘려야 되는데 그렇게 쉽지가 않나봅니다

    흐름을 잘타시기 바랍니다

  • 앞으로의 추세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수 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우상향을 하더라도 가격에 대한 한계점은 올수있습니다. 이유는 인구감소가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이러한 인구감소에 따른 수요부족은 지금보다는 10년후,20년후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에 영향을 미칠수 있기에 그 기간동안 공급을 고려한다면 더이상 주택가격이 상승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판단이 됩니다. 즉 투자대상으로써 부동산 주택에 대한 부분은 점차 그 매력을 상실하게 될 것으로 보이고, 주택에 대한 인식 역시 재테크의 수단보다는 거주를 위한 하나의 주거문화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에 이전처럼 급격한 추가상승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고, 최근 급락에 따른 이전가격 회복정도는 시기는 장담하기 어렵지만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 한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부 정책과 경제 상황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으며, 코로나 이후의 가격 폭등과 미국의 고금리 통화정책으로 인한 하락이 있었습니다. 서울은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가 줄고 있는 유일한 수도로, 이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택 공급이 충분하지 않으면 가격이 오를 수 있으나, 인구 감소를 고려할 때 가격이 내려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잉공급과 인구 감소로 인해 지방 부동산 시장은 가격 하락이 예상됩니다. 60~70대 부자들이 부의 대물림을 진행함에 따라, 가격이 쉽게 내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신도시로 인구가 유입되어 현재와 비슷한 시장 상황이 유지될 것입니다.

    KB경영연구소의 2024년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시장은 하향 안정을 전망하고 있으며, 금리와 공급, 그리고 정책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높은 금리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주택 매매 거래량의 급감과 함께 주택 경기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팽배해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인하 시기와 폭, 그리고 정부 정책에 따라 주택 시장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국 부동산 시장의 미래는 매우 복잡하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 개인의 전망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마는

    개인적으로는 이전 21년 전고점의 90% 수준까지는 회복하고 전고점 부근에서 횡보하지 않을까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부동산 시장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세계적으로 경제가 회복되고 인구 증가로 인한 수요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부동산 시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고금리, 정부의 규제, 대출 규제등으로 부동산 침체기 입니다.

    하지만 곧 금리가 인하되고 정부의 규제가 완화 될 때 부동산은 다시금 상승을 할 수 도 있습니다.

    공급이 부족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을 예상하고 지방 또한 따라가는 형상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양극화 또한 나타나서 좋은 부동산은 상승을 안좋은 부동산의 상승은 덜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