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집값 전세값이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지금 부동산 시장에서 집값, 전세값이 오르고 있는중이라고 인터넷 기사에 나오는데요 이것은 왜 이런 현상이 나오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2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인상상한선5%, 즉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을 하게 되면
최대 4년을 거주할 수 있고, 또한 임대료도 5%밖에 못 올리니, 집주인들이 4년이 지나고 계약을 종료하고 새로운 세입자를 맞이 할때는 그 4년치 못 받았던거하고 앞으로도 5%밖에 못 올리니 한꺼번에 확 올려버리니 전세가가 상승을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집을 사는 것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과 높은 금리 때문인데요, 이로 인해 전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세 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월세보다 전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이는 전세 수요를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특히 수도권에서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세 수요를 더욱 증가시키고, 전세값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임대차2법의 시행으로 인해 임대인들이 신규 계약 시 전세가를 인상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파트를 선호하면서 비아파트에서 아파트로의 전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앞으로의 집값 오르지 않을 것 같고 주거 안정은 찾아야겠고 그러니 전세를 많이 찾습니다.
하지만 전세수요가 많으면 가격은 당연하게 오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집값 중에서도 아파트값 위주로 오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르고 있는 이유는 통계청 수치상으로 볼때 2022년 자료상 인구수는 우리나라 전체의 18% 정도를 차지하는데, 서울의 아파트 호수는 우리나라 전체의 15%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인구에 비해 부족한 호수이기 때문입니다. 지방에는 미분양이 날 정도로 공급이 부족하지 않지만 서울은 여전히 주택, 그중에도 아파트를 찾는 사람이 많아서 잠재적인 수요가 존재하는데 고금리와 경제 위축으로 수요가 억제되고 있다가 최근 월세전환등에 의한 전세 물량부족으로 인한 전세가상승 그리고 원가 상승 및 건설사 채산성 악화로 인한 분양가 상승에다 금리인하 기대감이 겹치며 수도권위주로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동산은 특성상 이동이 불가하므로 선호지역의 아파트는 그 숫자도 한정적이고 대체 불가하므로 선호지역 위주로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경우 인구는 줄지만 지방에서 상경한 젊은 직장인들로 인해 1~2인가구수가 늘어나서 주택이 부족합니다. 그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가격이 오르는 겁니다.
좋은 평점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빌라전세사기로 인해 아파트전월세를 찾다보니 전세가부터 오르더니 매매로 돌아선거 같습니다
제일 중요한 이유가 공급이 부족해서 입니다
공급이 부족하다보면 전세,매매모두 오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 현재 부동산 가격이 대세 상승장으로 갈지 아니면 일부 지역만 상승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할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아무래도 경제라는 것은 영원한 상승도 영원한 하락도 없습니다. 과거와 다르게 해외경제 상황과도 맞물리기 때문에 일시적인 부분에 신경 쓰기 보다는 전체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지금 현재는 공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신축 빌라 혹은 구축 빌라에서 전세가 많이 어렵고 또한 인식도 좋지 않고 아파트로의 쏠림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신축아파트의 경우 매우 비싸고 공급이 줄었다 보니 수요자는 계속있고, 공급물량은 부족하는 등으로 전세가가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부동산 시장에서 집값, 전세값이 오르고 있는중이라고 인터넷 기사에 나오는데요 이것은 왜 이런 현상이 나오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 전세가격이 오르는 경우 "최근 월세가 많이 인상되었고 상대적으로 전세 대출이자가 낮기 때문에 전세소요가 급증"해서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아파트 공급물량의 부족으로 인한 부동산 값의 상승은 심리적 기대감을 촉진하여 아파트 청약 열기가 폭증하면서 전세값마져 흔들리고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서민의 주름살은 늘어지고 집없는서만의 고통은 물론 청년들의 내집 마련의꿈은 점차 멀어져가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루빨리 정책당국의 세밀한 분석으로 부동산 안정화 정책의 실현이 적극 요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국 감정평가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형성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아마도 수도권 지역을 기준으로 말씀하신 거 같네요. 아무래도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전세 제도의 특성이 영향을 미치기도 한 거 같은데요.
최근 몇년 사이 신축아파트의 착공 및 분양, 준공의 물량이 적어지는 것과 최근 빌라 전세 사기 이후에 주거 유형의 선호도가 아파트 쪽으로 치우치다 보니 아파트의 전세값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판단됩니다.
그리고 2020년 시행된 전월세2법으로 전세가 만기되는 경우가 올해 다가왔기 때문에 전세값이 상승하는 이유도 있을 거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세값 상승은 역전세를 일으킬 위험이 있고 역전세가 되거나 전세에서 매입으로 전환하는 수요가 연결되는 경우 이로 인해 집값이 상승하는 이유가 되기도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