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처리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상계처리는 무엇인지 그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부탁드립니다. 상계처리의 정의와 함께, 이 과정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상계처리가 주로 사용되는 분야나 산업, 그리고 그로 인해 해결할수있는문제점에대해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또한,상계처리가 적용되는 법적 또는 규제적 측면이있다면 이에 대해서도 언급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상계처리의 효과를 측정할수있는 지표나 방법이있다면 설ㄹ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상계처리란 통상적으로 채권자와 채무자가 같은 종류의 채권을 서로 소멸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계처리는 당사자간 합의로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상계란 채권자와 채무자가 서로에게 같은 종류의 채권과 채무를 가지고 있을 때, 양쪽의 채권과 채무를 동등한 금액만큼 서로 없애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서로 빚진 것을 퉁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만원을 빌려주고, B도 A에게 70만원을 빌려준 상황이라면, 두 사람은 상계를 통해 A는 B에게 30만원만 받을 권리가 있고, B는 A에게 더 이상 갚을 의무가 없게 됩니다.
상계는 당사자 일방의 의사표시(단독행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당사자 간의 합의(상계계약)로도 가능합니다.
상계는 채권과 채무를 간편하게 처리하고, 복잡한 거래 관계를 정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민법 제492조는 "쌍방이 서로 같은 종류를 목적으로 한 채무를 부담한 경우에 그 쌍방의 채무의 이행기가 도래한 때에는 각 채무자는 대등액에 관하여 상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임금은 근로기준법 제43조제1항에 따라 근로자에게 직접 그 전액을 통화로 지급해야 하므로 원칙적으로 상계가 불가하나, 동조제2항에 따라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계를 일정요건 하에 허용함으로써 채권과 채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