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끝까지희망을주는찜닭
끝까지희망을주는찜닭

한 국가의 자급자족을 이야기할때 인구수

안녕하세요 한국가가 자급자족을 할 수 있느냐내수경기만으로. 의 기준을 이야기할때

인구 1억?을 말하는거같던데 맞나요

그래서 한국은 자급자족이 어렵고 일본은 가능하다? 이런 말을 들은거같은데

왜 인구가 많으면 자급자족이 가능하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 1억이라는 기준은 내수 시장 확보와 경제 규모의 안정성을 의미합니다. 인구가 많으면 자급자족 체계를 구축하기 유리하지만, 이는 인구 외에도 자원, 산업, 기술 수준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한국은 내수만으로 자급자족이 어렵지만, 수출 경쟁력을 통해 경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한나라가 자급자족한다는 것은 내서 경기로서 외국의 존없이 경제를 운영할 수 있는 인구를 의미합니다 대략 통계적으로 1억인구는 유지해야 자급자족의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하나의 예로 중국은 미국의 강력한 규제를 추진하더라도 내수 운영으로 크게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 봅니다 그러나 국제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심할 수록 외부의 충격에 흔들리며

    과도할 경우 붕괴에 이르기도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자급자족이라기 보다는 내수경제를 말하는게 맞는듯 합니다. 쉽게 기업이 생산하고 소비를 하는 기본적인 경제 구조에서 나라의 인구수는 매우 중요합니다. 쉽게 기업들이 생산하는 생산품이 국내 수요보다 많으면 과잉공급이 되고, 기업에서는 내수보다는 수출중심으로 운영을 할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수출시에는 국제정치상황, 환율, 관세등 여러 변수가 존재하게 되고, 전체적인 경기침체시 내수가 부족한 나라는 기업생존에서 더 어려움을 겪을수밖에 없습니다. 일본의 경우는 인구수가 1.2억정도이고 중국은 14억, 우리나라는 5천만인점을 고려하면 일본은 내수경제가 어느정도 가능하지만, 우리나라는 소비인구가 부족등이 있기에 기업들이 내수중심이 보다는 수출중심으로 발전하게 된 부분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1억만명이상이될때 자급자족으로 가능하다고 합니다

    인구 1억이 넘으면 외부로 눈을 돌리지 않아도 생산한 모든 것들이 자급자족으로 충당이 된다는 얘기입니다

    일본은 인구수가 그만큼 되는데 우리나라는 5천만명 정도인데 지금도 인구수가 줄고 있어서 걱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해서 수출을 많이 해야 해결될수있고 생산을 해도 수출만이 살길이라고 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국가가 자급자족을 할 수 있느냐내수경기만으로. 의 기준을 이야기할때

    인구 1억?을 말하는거같던데 맞나요

    ==> 네 맞습니다. 그러나 전 부분에 있어서 자급자족이 불가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한국은 자급자족이 어렵고 일본은 가능하다? 이런 말을 들은거같은데

    왜 인구가 많으면 자급자족이 가능하다는 건가요?

    ==> 자급자족이 도움이 된다는 방향으로 이해를 하심이 적절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세계화 시대에 자급자족은 어렵지만 인구 1억 정도면 내수가 어느 정도 받쳐 주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하지만 세계화 시대에 자급자족 하는 나라는 발전하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