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독특한이구아나172
독특한이구아나172

수면 시간은 최소 7시간에서 8시간을 자야 건강에 좋다고 하는데요.

성별
남성
나이대
38

수면시간이 8시간 정도 자야 건강에 좋다고 하는데 저는 새벽에 5시간 정도 자고 출근해서 차에서 1시간 점심시간에 1시간 정도 자거든요.

이렇게 자는것도 총 수면시간으로 봐도 되나요?

건강에 안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면은 하루 중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총 수면시간을 확보한다면 분할 수면도 나쁘지 않습니다. 수면의 질과 양 모두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의 수면 습관과 생활 패턴에 맞는 방식으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분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차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수면을 나누어도 개운하게 잘 수 있지만, 어떤 사람들은 뒤척이거나 낮잠 후 두통, 몽롱함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면역력 저하, 인지 기능 감소,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지만, 바쁜 일상으로 인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낮잠을 잘 때는 오후 2-3시경에 30분 이내로 자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저녁 시간에는 카페인, 알코올, 전자기기 사용을 자제하고 느긋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에 따라 필요한 수면량은 다를 수 있으므로, 자신의 컨디션을 잘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고 피로가 누적된다면 수면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해보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수면 시간은 최소 7시간에서 8시간을 자야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개인마다 수면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수면 시간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시간은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성인은 하루에 7~8시간 정도 자야 하지만, 노인은 6~7시간 정도 자면 충분합니다. 또한, 수면 시간은 개인의 체질에 따라 다릅니다. 수면이 부족한 사람은 7~8시간 정도 자도 피곤할 수 있고, 수면이 많은 사람은 5~6시간 정도 자도 피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면은 뇌와 몸을 쉬게 하고, 기억을 강화하며, 면역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면 시간이 부족하면 피로감, 집중력 저하, 면역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면 시간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수면 시간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들이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수면 시간을 찾고,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 지식인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사입니다.

    수면시간은 7~8시간정도가 적절하며 이 시간은 한번에 몰아서 자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중간중간에 낮잠을 30분~1시간 자는 것은 매우 좋으나, 총 수면시간에 포함하진 않아도 됩니다.

    제 답변으로 고민과 걱정이 조금이나마 해결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와 추천도 잊지 말아주세요~

  •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적절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수면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개인의 피로 회복 속도, 기저 질환, 나이, 컨디션 , 낮동안의 활동량에 따라 다 다릅니다만...

    30분에서 1시간 정도의 낮잠은 컨디션 회복에는 도움이 되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 야간 수면에 영향을 주기는 합니다.

    수면의 양보다는, 낮 동안의 졸림/컨디션이 어떤지가 더 문제가 될 듯 하네요.

  • 일반적으로 수면시간 8시간이라고 말할 때는 연속해서 주무시는 경우를 말합니다

    환자분의 경우는 5시간이 되겠네요

    피로해서 중간중간 수면을 취하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저녁에 연속으로 주무시는 시간이 조금 짧은 것 같습니다.

  • 총 수면의 양이 중요한게 아니라 아래 보시는 그림에서 NREM 4기라고 하는 깊은 수면이 얼마나 되는지가 중요합니다.

    문제는 1시간씩 잘라서 자는 경우에 깊은 수면으로 들어가지 못한다는겁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듯이 4기까지 내려가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한걸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선잠을 아무리 많이 자도 개운하지 않은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