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에서 건강보험이 오르는 이유는?
회사에 다니는 가족의 급여가 이번 달은 몇십만원 적게 들어와서 질문 남깁니다. 사람들은 건강보험료?가 올라서 제하고 들어온 것 같다고 합니다.
건당보험료가 오르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예를 들어, 예금.적금, 부동산 등등의 자산이 늘어나면 이게 반영 되서 급여의 건강보험료도 오르게 되나요?
만약 그렇다면 반영이 안 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법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
보통 건강보험 연말정산 실시 후 정산보험료를 4월 급여에 반영하게 됩니다.
전년도 대비 보수월액이 높게 잡힐 경우 추가 정산이 이루어지며, 분할납부하지 않는다면 4월 급여에서 일시납으로 추가 정산하게 되므로 다른 달 대비 실수령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자산과는 무관합니다.
1회성이라 정산 후 5월부터는 변동된 보험료로 공제될 것이나, 위 절차를 생략하려면 매번 급여의 변동이 없게끔 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직장가입자는 월보수로 보험료가 산정됩니다.
지금 시점이 작년 보험료에 대해
정산을 하여 고지되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임금명세서를 확인해 보시고 정산보험료가
많이 나와서 실수령액이 줄어든 것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건강보험료 정산 결과로 추가납부해야 하는 금액이 발생하였을 수 있습니다
이는 근로소득에 비례하여 부과되므로, 비과세대상이 되는 근로소득을 조정하는 것이 보험료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연봉이 올라가면 건강보험료가 증가하며 이외에도 소득과 재산 정보에 변동이 있어 해당 내용이 반영되면서 보험료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위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건강보험료율은 3.545%로 매월 고정적으로 적용되므로 건강보험료가 증가됐다는 것은 해당월의 급여가 많이 지급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