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서꾸기
서꾸기

부동산 질문 드립니다~~~!! 🙇‍♀️🙇🙇‍♂️

월세는 계약때 책정한 금액을 다달이 지불하고 이용하는것 다달이 월세를 지불하지 못할때는 대비하여 계약할때 월세 외로 책정하는게 보증금이라고 대충은 알고있는데 (이것도 제가 알고있는것과 다르다면 수정 부탁드립니다🙏) 전세와 매매는 잘모르겠어서... ㅠㅠ 초등학생한테 설명한다 셈으로 자세히좀 설명 해주실분 계실까요?ㅜㅡ 그냥 제가 이해하기론 전세도 매매도 모두 제 이름으로 딥을 산다(구입한)다는거 아닌가 싶길래요ㅠㅠ 근데 자꾸 전세, 매매 구분을 지으시니까들...👉👈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월세는 계약때 책정한 금액을 다달이 지불하고 이용하는것 다달이 월세를 지불하지 못할때는 대비하여 계약할때 월세 외로 책정하는게 보증금이라고 대충은 알고있는데 (이것도 제가 알고있는것과 다르다면 수정 부탁드립니다🙏) 전세와 매매는 잘모르겠어서... ㅠㅠ 초등학생한테 설명한다 셈으로 자세히좀 설명 해주실분 계실까요?ㅜㅡ 그냥 제가 이해하기론 전세도 매매도 모두 제 이름으로 딥을 산다(구입한)다는거 아닌가 싶길래요ㅠㅠ 근데 자꾸 전세, 매매 구분을 지으시니까들...👉👈

    ==> 매매를 진행하는 것은 사는분이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여 집주인을 바꾸는 행위이고 임대차는 세입자(빌려쓰는 분)이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여 2년이상 일시적으로 거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2년을 거주하면 이사를 해야 합니다. 전세와 월세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세는 보증금이라는 큰 돈을 전세기간 중 맡겨 놓고 계약기간이 종료되어 이사를 갈 때 찾아가는 금액을 의미하고

    2. 월세는 일정한 금액을 보증금을 지불하고 매월 일정한 비용(월세)를 임대인에게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는 본인의 이름으로 집을 구입하는 것입니다

    소유권 이전등기를 하면 등기부등본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면 그집을 다른사람애게 전세나 월세로 세를 놓게 됩니다

    그래서 매매와 전월세는 개념이 다릅니다

    전세는 집을 사는 것이 아니고 큰 보증금을 맡기고 소유주한테 빌려서 거주하는 방식입니다

    매매만 진짜 내 이름으로 집을 사는 것이고

    월세는 매달 빌리는 대가를 내고, 보증금은 안전장치 입니다

    혹시나 월세를 못내게 될때 이사시에 보증금에서 제하고 나머지를 내주게 됩니다

    이런 차이가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집을 사신다는 개념이 아니시고 매매보다는 저렴한 금액으로 월세를 내지 않으시는 임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월세는 보증금 얼마에 월세 얼마 이렇게 진행이 되지만 전세는 보증금 얼마에 월세는 없이 계약한 기간 동안 집을 임대해서 지내실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매매는 내 이름으로 집을 사시는 것이구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는 매달 집주인에게 일정 금액을 내고 집을 빌려 사는 방식입니다.

    전세는 큰 금액의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기고 일정 기간 집을 빌려 사는 방식입니다.

    매매는 집을 실제로 사서 소유권을 얻는 거래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는 부동산을 사고 파는 행위를 말 합니다. 즉 부동산을 팔고 싶은 사람이 부동산을 사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돈 받고 부동산 소유권(등기)을 이전을 하는 행위를 말하며 전세는 집주인(임대인)에게 전세보증금(목돈)을 맡기고 월세 없이 계약기간동안 거주를 하고 퇴거할 때 다시 집주인(임대인)에게 맡겨 두었던 전세보증금을 받고 나가는 것을 전세라고 하고 월세는 보증금(소액)을 맡기고 매달 일정금액 월세를 지불을 하면서 거주를 하는 형태이고 계약이 끝나면 보증금 받고 나가시는 형태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와 매매는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전세는 전세보증금을 내고, 계약된 기간동안 살다 나오는 것입니다. 다달이 세를 내는 월세와는 다르게 전세보증금만 내면 계약기간동안 집주인에게 내는 돈은 전혀 없습니다. 하지만 명의이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내 집이 아닙니다.

    매매는 집 값을 치르고 명의를 이전하여 내 집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월세는 말그대로 일정수준의 보증금을 두고 매월 월세를 납입하는 계약형태이고 전세는 매월 납부하는 것 없이 보증금만을 내고 거주하는 형태입니다. 임대인 입장에서 볼때 월세는 매월 월세에 따른 수입이 있지만 전세는 월납입금이 없기에 실질적은 이득이 없을수 있어보이는데 이러한 부분들로 인해 보통 월세보다 높은 보증금을 임차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보통 주택가격의 50~60%정도의 전세보증금을 받는대신 월세를 받지 않고, 해당 자금을 임대인은 다른 투자용도로써 사용을 하거나 혹은 해당주택을 구매할때 구매자금으로 이용하여 주택소유권을 획보할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매매의 경우는 위 월세나 전세와 다르게 사용을 하는 목적이 아닌 주택의 소유권을 확보하는 계약으로 쉽게 해당 주택의 소유권을 사고 파는 계약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매매는 주택의 소유권을 거래하는 것이고, 전세와 월세는 모두 임대차로 주택의 소유권이 아닌 사용에 대한 권한을 거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전세와 월세는 보증금과 월 주거비용 부담여부에 따른 구분할수 있습니다 .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금은 월세를 지불하지 못하고 연체하는 데 대한 대비 뿐 아니라 임차인이 임차 목적물을 사용중 고의 또는 과실로 손상시키는 경우도 대비하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전세는 부동산 소유자에게 상당한 보증금(임대기간 동안 임대인이 활용) 을 맡기고 해당 부동산을 일정 기간동안 빌려서 사용하는 제도입니다. 반면 월세는 전세에 비해 소액의 보증금을 맡기고 매월 월세를 납부하며 부동산을 일정 기간동안 빌려서 사용하는 제도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덕성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이라고 하는 주택, 집은 사고파는 것과 빌려주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집을 사는 것을 매수, 파는 것은 매도이고 사고파는 것을 매매라고 합니다.

    사는 사람은 매수인, 파는 사람은 매도인이고 부동산을 운영하며 매수인과 매도인에게 집을 사고 팔수있게 연결해주는 사람을 부동산 중개사라고 합니다.

    집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것을 임대라고하고 집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사람을 임대인, 다른 사람의 집을 빌리는 사람을 임차인이라고 합니다.

    집을 빌리는 방법은 전세, 월세가 보편적이고 전세는 보증금이라고하는 돈을 임대인에게 맡기고 매월 집 빌리는 비용을 내지않고 집을 빌리는 방법입니다.

    월세는 전세보다 적은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맡기고 집을 빌리는 대신에 매월 비용을 임대인에게 내는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