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동산 미래가 어떤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계속된 물가폭등 부동산가격 하락으로 인한 힘든 현생을 살고 있는데요 자꾸 부동산 경제가 안좋은 이유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이 가계의 실질소득을 감소시키고, 부동산 구입에 대한 여력을 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가 상승이 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기업의 투자가 감소하고, 부동산 수요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인구 감소 추세가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미 한국의 주택보급률은 104%를 넘어섰으며, 인구 감소로 인한 가구 수도 줄고 있습니다. 생산가능 인구는 저출산 추세와 코로나19 충격이 2030년 이후 본격적으로 반영됨에 따라 2038년부터 30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측됩니다. 최근 수년간 한국의 집값 폭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제로에 가까운 금리입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부동산 임대 수익률이 은행 이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집니다.
그러나 금리가 제로 수준에 가까운 1% 대 내외면 집값은 기준도 근거도 없이 투기수요가 붙어 오르게 됩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재건축 억제, 양도소득세 중과, 임대사업용 장기보유 등의 정책이 집값에 영향을 미칩니다. 부동산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요자인 인구 감소와 공급 부족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물가 상승이 장기화될 경우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가 상승이 가계의 실질소득 감소로 이어지고, 부동산 구입에 대한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가격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적산 가격, 수익방식, 거래 사례 비교법 등이 있습니다.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수익방식으로 가격을 환산하는 것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계속된 물가폭등 부동산가격 하락으로 인한 힘든 현생을 살고 있는데요 자꾸 부동산 경제가 안좋은 이유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은 이유는 기준 금리가 인상되다보니 부동산 가격이 하락된 측면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기준 금리 인하를 논의하고 있는 만큼 올 연말부터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은 공급이 많이 부족해서 26년도 부터는 오를거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자재값,인건비,금리 안오르는게 없어서 건설은 안하다시피 하는데 그부족분이 26년도 부터 심하다고 합니다
아무튼 금리가 내려야 활성화가 된다고 봅니다
지금은 뭐든 멈춰 있어서 그시간을 잘버텨야 할거 같습니다
부동산도 투자 자산의 일원으로 경기는 좋았다가 나빴다가를 반복합니다.
19년정도부터 2~3년 매우 좋았으니 지금 좀 안좋다고 해도 긴 관점에서 보면 그렇게 안좋은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부동산은 약 10년 주기로 싸이클이 있다고 하니 지금 좀 안좋아도 시간 지나면 또 좋은 날도 오지 않을까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부동산은 대부분 정책에 의해 좌지우지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시장경제에 맡기면 될 것을 오른다 또는 내린다고 하면 이상한 부동산 정책을 펴서 오히려 더 안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은 고금리, 정부의 부동산 규제 및 대출 규제로 매수 보다는 매도가 훨씬 많은 실정입니다.
비싼 대출이자를 감당하기 힘들고, 다주택자들에 대한 세금 과세, DSR같은 대출한도 축소로 매물만 쌓이고
매수는 줄어드니 부동산가격은 하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쟁등으로 인해 에너지가격이 올라가면서 시장물가도 올라가고 참으로 어려운 시기 입니다. 물가가 올라가니 쉽게 금리를 내리지도 못하는 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