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정말저돌적인커피
정말저돌적인커피

등통증이 자세문제인지 췌장이나내부문제인지 구별법

성별
여성
나이대
40대

오른쪽 아래 등라인 통증이있는데 이게자세가 안좋아서 그런건지 췌장이나 장기문제인지 어떻게 구별하나요? 꾸준하게있는통증이긴합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정확하게 확인하기위해서는 병원에서 정밀검사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가까운 정형외과나 내과로방문해보는것을 추천합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근골격계 통증이라면 통증 위치를 정확히 짚을 수 있지만 내과적인 문제라면 통증 위치를 정확히 찾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통증뿐만 아니라 복부 통증, 소화 불량, 메스꺼움 등 내과적인 증상이 동반된다면 내과적 질환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자가 진단은 객관적이지 않기에 현재와 같은 증상이 지속됐다면 먼저 정형외과와 같은 근골격계 검사를 해보시고 문제가 없다면 내과를 내원 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오른쪽 등 부분의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식누요.

    근골격계 문제라면 압통점을 누르거나 특정자세, 움직일 때 통증이 더 심해 질 수가 있으며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줄어 들 수가 있습니다.

    내장기 문제라면 압통점이나 특정자세, 움직임과는 상관없이 통증이 지속되거나 주기적으로 통증이 나타나거나 근육이 아닌 몸속 깊숙한 부분의 찌르는 듯한 통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신다면 먼저 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고 내과적인 문제가 아니라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오른쪽 아래 등 통증은 자세성 근육통이 더 흔하지만, 담낭·담도·신장 문제도 같은 부위에 통증을 줄 수 있어 구분이 필요합니다. 아래 기준으로 보시면 어느 쪽에 가까운지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1) 자세·근육 문제 의심 ;

    특정 자세에서 심해지고, 자세 바꾸면 줄어든다.

    오래 앉아있을 때, 설거지·청소처럼 한 자세 유지할 때 악화.

    눌렀을 때 아픈 지점이 있다.

    스트레칭, 마사지, 온찜질로 일시적으로 완화.

    통증이 “쑤심/뻣뻣함/당김” 느낌.

    2) 내부 장기 문제 가능성

    내부 장기 통증은 자세와 크게 상관없이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췌장

    주로 왼쪽 등/명치에서 왼쪽 등으로 방사.

    음식 특히 기름진 음식 먹고 악화 가능.

    메스꺼움, 체중 감소, 복부 깊은 통증 동반 가능.

    → 오른쪽 아래 등만 아픈 경우는 췌장 가능성은 낮은 편.

    ■ 담낭·담도(담석 등)

    오른쪽 갈비뼈 아래 통증 + 그 통증이 등 오른쪽으로 퍼짐

    식후 특히 기름진 음식 후 악화

    더부룩함, 구역감 동반 가능

    ■ 신장(요로결석·신우신염)

    옆구리~등 아래쪽 깊은 통증

    자세와 무관하게 지속

    소변 볼 때 찌릿함, 소변색 변화, 열이 있을 수 있음

    3) 지속 통증일 때 체크해야 할 경고 신호

    아래 중 하나라도 있으면 정형외과/내과 진료 권합니다.

    통증이 밤에 더 심해 수면 방해

    2주 이상 계속되는 깊은 통증

    복통, 소화불량, 메스꺼움 동반

    소변 이상

    체중 감소, 식욕 감소

    4) 현재 증상 위치로 가능성 정리

    오른쪽 아래 등 라인이라면

    → 췌장 가능성 낮음

    → 근육·자세 문제, 신장 부위, 담낭 방사통이 상대적으로 더 흔합니다.

    특히 PC 작업 많거나, 허리·등 근육이 뭉치기 쉬운 체형이면 자세성 통증(근섬유 등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장기의 문제인 경우에는움직임과 크게 상관없이 일정하게 지속되거나 식욕변화, 소화불량과 같은 다른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만으로 원인을 단정하기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불편감이 지속되어 나타난다면 병원에서 전문의를 통한 진료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