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어쩌라구요
어쩌라구요

우리나라에 주거시설이 부족한가요?

안녕하세요.

뉴스나 정치인들은 늘 우리나라에 주택공급이 적다.

공급을 늘려야 된다면서 전국에 넘쳐나는 빈집 미분양은 모르쇠하고 아파트를 짓기 바쁜데요.

정말로 주거시설이 부족한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뉴스나 정치인들은 늘 우리나라에 주택공급이 적다.

    공급을 늘려야 된다면서 전국에 넘쳐나는 빈집 미분양은 모르쇠하고 아파트를 짓기 바쁜데요.

    정말로 주거시설이 부족한게 맞나요

    ==> 우리나라 주택 부족문제는 전국적인 현상이 아니고 서울 등 특정지역 중심으로 부족문제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서울지역은 매년 주택공급 부족 문제로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정확히는 수치만 보면 주거시설이 부족하지는 않습니다.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5로 100을 이미 넘어선 상황입니다. 문제는 해당 주택보급률은 평균치이기 떄문에 지역마다 다른 수요로 인해 지역별 주거부족의 차이가 나타날수 있는데,서울의 경우는 93으로 수도권(인천,경기)지역만 100보다 낮은 상황입니다. 즉, 서울,수도권의 경우는 아직은 주거지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특유의 아파트 선호도가 높은 현상으로 인해 위처럼 수치상 높게 나온다고 해도 모든 지역내의 수요를 아파트로 공급하지 않는 이상 아파트 수요도는 계속 높게 나오기 떄문에 아파트에 대한 공급부족은 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아파트 공급은 미분양등의 문제가 있음에도 지속적으로 공급이 되는 상황입니다. =

    결론적으로 서율,수도권내 아파트기준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볼 필요도 없이 수도권만 놓고 보아도 주택공급은 부족하지 않습니다. 다만, 누구나 가길 원하는 지역이 있고, 아파트가 남아돌아도 가지 않으려는 지역이 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결론적으로는 우리나라 집 공급은 부족하지 않고 오히려 남지만, 지역불균형 발전으로 인해(특정지역인기)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인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주요 도시에는 사람들이 몰리지만 지방 중소도시에는 빈집, 미분양이 오히려 많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지방 미분양 물량은 약 8만호에 달합니다.

    주거 수요는 아파트에 몰리는 반면 단독주택, 노후, 다가구, 빌라는 기피 되면서 살고 싶은 집은 부족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주택은 많지만 내가 살 수 있는 집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이 현실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공급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자가와 거주 형태를 막론하고 보급 상태만 따지는 주택보급률은 총주택수 / 일반가구 수 x 100으로 통계청 2023년 기준 서울은 93.6% 이며, 소유 주택에 실제 거주하는 자가점유율은 자가점유 가구 수 / 총가구수 x 100으로 계산되며 통계청 2023년 기준 서울은 44.0% 로서 자가 주택이 부족한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실제로 서울의 경우 오래되고 낙후된 주택이 많으며 주차공간도 확보되지 않은 소형주택이 많은 것을 감안하면, 전국민의 50% 가량이 몰려있는 서울과 수도권에 신축 아파트 등에 대한 수요가 엄청날 것임을 짐작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물리적인 거주공간의 개념으로 본다면 인구대비 주거시설이 부족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가 직장가까운곳 학교 가까운 곳 그리고 생활하는 곳에 가까운 곳이 주로 서울이고 수도권 도심일 가능성이 큽니다. 누구나 그러한 중심에 가까이 살기를 원하나 그 지역의 주택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고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일자리나 학교 병원등이 집중되자 많은 인구가 몰린 서울의 경우 주택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실사 인구소멸위험지역인 지방의 경우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도 많이 있습니다.

    즉 수요가 있는 곳에 알맞은 공급이 되어야 된다고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정치권이나 언론에서 주택 공급이 부족하다는 주장을 자주 접하게 되지만, 실제로는 단순히 집이 모자란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이 원하는 위치와 형태의 주택이 부족하다는 게 더 정확한 진단입니다

    전국적으로는 집이 남아돌지만, 사람들이 원하는 좋은 위치의 양질의 집은 부족합니다

    그래서 무조건 아파트를 짓기보다는:

    노후 주택 재생,빈집 활용 정책,지방 균형 발전,1~2인 가구 맞춤형 소형 주택 공급 같은 정밀한 주택 정책이 더 필요한 시점인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