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유연한재칼263
유연한재칼263

전세제도는 우리나라만 있는 제도인가요??

부동산 제도중에 전세제도는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있는 제도인가요? 전세는 언제부터 생겨난나요?

다른나라에도 전세제도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세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는 아니고 인도와 볼리비아에도 존재하는 제도 입니다.

    전세제도는 과거 조선시대부터 있었지만, 지금처럼 눈에 띄게 나타난 것은 1980년대 부터 시작했습니다.

    농업체계에서 산업체계로 바뀌고 경제가 발전하면서 주택 가격은 점점 비싸지고 대출의 금리는 높았는데요.

    농촌 인구들이 도시로 몰리면서 건설업계는 호황을 맞이하고 이로 인해 아파트 사재기가 유행하면서

    집값은 점점 높아지고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늘어나고 전세금을 만들어서 집을 사 두는 것이 보편화 되었죠.

    지방에서 땅을 팔아 대도시로 이주한 사람들도 가진 목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집을 빌려 살 수 있었기 때문에

    공급과 수요가 맞아서 전세 제도가 확산 되었습니다.

  • 전세제도의 경우는 전세계적으로 흔하지는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과 인도, 볼리비아등에서 운영되고 있으나, 인도의 경우는 현 전세제도와는 차이가 있고 가장 유사한 형태는 볼리비아를 들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세제도는 조선시대부터 존재하였다는 학설이 많고, 현재처럼 일반화된 시기는 개발이 한참 진행되던 70~80년에 주택부족과 주거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진 임차인과 주택구매 필요한 자금을 전세를 통해 조달하는 임대인의 필요가 맞아 대표적 임대차 제도로 발전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부동산 제도중에 전세제도는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있는 제도인가요? 전세는 언제부터 생겨난나요?

    다른나라에도 전세제도가 있을까요?

    ==> 전세 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한 임대차 유형으로 조선시대붜 생겨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대부분 우리나라에만 있다고 생각하지만 몇몇국가 또는 미국의 일부주에서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전세제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세제도는 일제시대때부터 생겼다고 하는데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조선 시대부터 지금까지 이루어진 제도 입니다.

    본격적으로 정착된 건 1970년대 1금융권 시중 금리가 12 ~ 20% 고금리가 정책하다보니, 집주인이 전세를 내주고 전세 보증금을 은행에 저축하거나 투자하는 방식이 정착하였습니다.

    현재는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및 페루, 인도의 일부 도시에서만 하고 있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우리나라에만 있는것은 아니지만 임대차의 한 형태로 보편화된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또한 특별법으로 보증금 보호를 위한 제도가 있는 나라도 거의 없습니다.

    전세가 언제부터 생겨났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대략 1970년대 이후부터 자리 잡은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전세제도는 한국에서만 존재하는 독특한 주택 임대차 제도입니다.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집값의 50~80%에 해당하는 보증금을 내고 계약 기간 동안 거주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 제도는 다른 국가에서는 보기 힘들며, 현재 볼리비아와 인도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드문 제도입니다. 전세제도의 기원은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10년 관습조사보고서에도 이미 전세라는 제도가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자리잡은 것은 6.25 전쟁 이후 산업화 시기를 거쳐서입니다. 이 독특한 제도는 국내 금융시스템이 제대로 잡히기 전에 사금융 역할을 했으며, 집주인과 세입자, 건설사, 국민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좋은 제도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세제도가 다른 나라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금융시스템과 국민소득 수준, 주택시장의 특성 등이 상호작용하여 전세를 유지하거나 폐지하는 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세제도의 존속 여부는 각 국가의 상황과 정책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 볼리비아도 전세제도가 있기는 했는데 활성화 되지 않았고 유일하게 우리나라만 전세제도가 활성화 되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전당에서 유래되었다고는 하나

    과거 우리나라가 돈이 없던 시절 빠른경제성장을 위해 건설경기를 활성화하는것이 중요했던시기에 정부,집주인,세입자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서 생겨난 제도라고 볼수 있답니다

    서울로 인구 유입이 많이 되면서 돈을 모을수 있는 수단으로 전세제도가 사금융역할을 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