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계약금 돌려받을수잇는 상황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계약서가 없어도 구두 계약이 성립될 수 있으나 계약의 구체적 조건과 내용을 증명하기 어려워 이후 분쟁 발생 시 불리할 수 있습니다.보통 계약금 명목으로 입금하고 계약을 해지 하려면 계약금을 포기하고 해제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돌려받기 어려워 보입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계약금 돌려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가계약금 취지로 계약금 일부를 지급한 경우 임차인은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해지 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10만 원은 법적으로 돌려받지 못하는 것이 맞습니다.중개인과 원만하게 협의하여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부동산 중개수수료가 동일 지역에서도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중개수수료는 법적 상한 요율이 결정되어 있습니다.상한요율이 있기 때문에 그 이하로 중개사와 협의가 가능합니다.따라서 중개수수료가 다른 이유는 중개사와 협의에 따른 차이라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전세계약 처음입니다.. 꼭 확인해야 할 부분 알려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일단 전세 시세가 주변 시세 대비 높은지 낮은지 판단하시고 적절하다 싶으면 임대인 신분 확인하여 계약서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등기부 등본 확인 하고 근저당이 있으면 이 부분을 말소하는 특약을 거시면 좋고 정 불안하다면 보증보험 가입하면 보증금을 지킬 수 있으니 보증 보험을 드시길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전세 2차 재계약 직전, 집주인의 매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1. 기존 임대인과 재계약을 했다면 매수인은 포괄하여 양수하는 것이라 크게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재계약 기간까지 거주하셔도 됩니다.2. 답변은 위와 같습니다. 재계약서를 작성하시면 매수인은 포괄양수하기 때문에 재계약 기간까지 거주하실 수 있습니다.3. 2개월이 남지 않았으면 묵시적 갱신이 됩니다. 따라서 기존 계약대로 연장되는 것이라 계약 기간까지 2년 더 거주 가능합니다.4. 구두계약은 법적 효력이 약하기 때문에 계약서 작성을 추천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토스 호가창 보는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네 맞습니다.하트가 매도 호가, 달이 매수 호가입니다.매수 호가가 많을 수록 저가 매수가 많다는 뜻이니 주가는 하락 쪽으로 내려갈 확률이 큽니다.이론 상 그렇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5.0
1명 평가
0
0
2억 융자있는 전세집 계약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1. 네 문제 없을 듯 보입니다.2.네 보증보험들면 안전합니다.3. 감액등기는 근저당 등기를 감액하여 등기하는 것을 말합니다.4. 네 보증보험 들면 안전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집값 올라간다고 아우성 치는 인간들이 왜 집사는데 자금출처 조사한다고 하니까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우리나라는 사유재산을 허용하고 자유 민주주의 나라입니다.국가의 관여가 심하면 반대 할 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형제 공동소유 주택 지분양도매매 시 토허제 실거주요건을 새로 충족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결론만 말씀드립니다.형제 공동소유 주택 지분 양도 매매 시 토지거래허가제 실거주 요건은 새로 충족해야 합니다.주택 지분을 양도 받은 매수자는 해당 주택에 대해 실거주 의무를 갱신 시 마다 새롭게 이행해야 합니다.취득일로부터 2녀간 실거주가 원칙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원룸 재계약 시 월세 인상 통보, 언제까지 알려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원룸 재계약 시 월세 인상 통보는 법적으로 계약 만료일 기준 최소 2개월 전에 서면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어기면 인상 통보는 무효가 되어 기존 계약 조건이 그대로 유지됩니다.구두 약속은 법적 효력이 약하므로 서면 증빙이 없으면 임대인의 인상 약속 불이행을 주장하기 어렵고 임대인이 약속을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법적으로 강제하기 힘듭니다. 재계약 시 월세 인상을 거부하고 기존 금액으로 계약 연장을 요청할 수 있으며 분쟁 시 주택임대차조정분쟁위원회나 법률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9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