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진핑과 푸틴이 언급했다는 불멸이라는 것이 생물학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생명공학, 생물학 등의 기술로는 완전히 불가능한 일입니다.특정 장기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개선시킬 수는 있으나, "산다"는 것은 온몬의 전체 조직과 세포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부의 장기만을 교체하는 것으로는 불가능합니다.다만,이것이 이슈가 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권력"과 "욕망", "인간의 욕구"를 잘 나타내는 핵심 구문이었기 때문입니다.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사람의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우리 몸은 항상 "항상성"으로 유지됩니다.항아리의 물이 1L라고 하더라도 한쪽에서는 들어가고 한쪽에서는 나가고 있습니다.그러나 총량은 1L지요성장기 때는 들어가는 물이 많기 때문에 물이 차고 넘칩니다. 반대로 노화가 진행됨에 다라서 들어가는 물이 줄어들고 빠져나가는 물의 양은 많아집니다.다시 돌아와서생리학적으로 노화가 진행됨은 모든 것이 줄어듭니다.영양소 흡수량도 줄어들고요. 세포의 성장도 줄어듭니다.그러나 반대로 세포의 사멸은 빨라지고 산화적 스트레스의 축적도 늘어납니다.즉,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모낭세포의 사멸, 영양소 부족,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빠지게 됩니다.그리고 그 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고령화 인구의 증가와 함께, 환경적 현상(미세먼지 등의 증가), 기후 변화(온도 증가)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한가지 원인으로 보기에는 너무 복잡합니다.감사합니다.
Q. 히스티딘은 어릴 때만 필수 아미노산에 해당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효소"와 "발달" 때문입니다.어릴 때와 성인이 되었을 때의 효소의 발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히스트딘을 만드는 효소는 어릴 때는 발현이 안되었다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발달 과정) 중에서 그 효소가 발현이 되어 활성화가 됩니다.추가로, 발달을 하는 과정 중에서 필요한 히스티딘의 양이 만들어지는 양에 비해서 많기 때문입니다.즉, 저장된 히스티딘으로도 충분한 히스티딘 공급이 안되기 때문입니다.따라서, "효소"의 부족(유전자 발현)과 "부족한 히스틴 양"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Q.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이 세포 노화 억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노화에 대한 가장 잘 정리되어 있는 문헌이 "The hallmarks of aging" 입니다.내부, 외부적으로 다양한 노화의 특징에 대해서 잘 정리하고 있습니다.말씀하신 부분은 외부적인 요인입니다.식습관은 산화적스트레스와 연관성이 깊습니다. 그래서, 노화의 촉진의 튀김류 등 기름이 많이 사용되거나, 탄수화물이 높은 식품을 섭취할 때 나타납니다. 반면, 항산화 식품(블루베리, 녹차, 토마토 등)은 세포의 손상을 억제하여 노화를 저속화시킵니다. 추가로, 과식은 노화를 촉진시키지만, 적정 칼로리의 섭취나 칼로리의 제한(Calories restriction)은 노화를 늦춘다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추가로, 포화지방보다는 불포화지방은 염증을 제어하여 몸에 이롭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규칙적인 운동은 노화의 핵심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코르티솔 분비를 높여 세포 노화와 손상을 촉진하기에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합니다. 햇빛의 경우, 피부의 조직을 파괴하여 피부를 붕괴시키기 때문에 주름 생성에 관여하고 "늙어보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깊은 수면과 규칙적인 생활 리듬은 손상된 조직의 회복과 호르몬 균형 유지 등으로 노화 촉진과는 거리가 멉니다.이처럼 다방면에서 노화는 연관성이 있고, 그 메커니즘을 하나로 정의할 수 없습니다.감사합니다.
Q.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했을 때 혈당 스파이크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탄수화물의 대표는 설탕입니다.설탕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설탕을 섭취하면 갑작스럽게 혈당이 쭉쭉 올라갑니다.여기서 천천히 혈당이 정상치로 떨어지면 좋은데, 인체의 생리가 그렇지 않습니다.혈당이 오르는 만큼 인슐린도 쭉쭉 올라갑니다.인슐린의 역할을 당을 조절하는 것인데, 혈당이 오른 만큼 인슐린도 쭉쭉 올라서 혈당이 다시 쭉쭉 떨어집니다.이러한 효과는 혈당의 농도가 갑작스럽게 오르다가 갑작스럽게 내리는 뾰족한 철탑모양이 됩니다.이를 혈당 스파이크라고 합니다.다만, 이러한 혈당 스파이크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몇몇 조건이 있습니다.다음은 대표 그 조건2가지 입니다.1) 최대한 공복인 상태여야한다.2) 탄수화물 중에서도 특정...설탕, 정제된 탄수화물이어야 한다. (식이섬유도 탄수화물에 속하지만, 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혈당스파이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결국 혈당스파이크는 빠르게 흡수되는 당과 이를 다시 정상치로 돌리기 위한 인슐린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