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새 아파트 이름들은 왜 이렇게 영어섞으면서 어렵고 길게 지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이름은 지역이나 랜드마크 명칭, 건설사 브랜드 명칭에다 환경 등 강조할 명칭(팻네임) 등을 붙여서 작명하는데 멋진 이름으로 차별화를 시도하려다보니 점점 더 어렵고 복잡한 명칭이되고 있습니다. 지역명칭에다 건설사들이 영문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길어진이름에 아파트의 특징을 살리려고 파크뷰, 포레, 에듀, 센트럴 등을 붙이고 차수까지 붙이다보니 길어진 명칭을 외우기도 힘든 상황이 되고는 하는데, 아파트 명칭을 인지도 높은 브랜드로 변경한 경우 그렇지 않은 아파트보다 가격 상승효과가 있다는 보고서가 있는 만큼 앞으로도 이런 상황은 계속 될 것 같습니다.
Q. 수도권 부동산이 지방 부동산보다 가격 상승이 잘 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최근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상황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다주택자 규제로 인한 똘똘한 한채에 집중된 선호현상으로 특히 서울의 인기지역에 집중되어 집값이 상승하는 반면, 지방에는 누적된 악성미분양과 젊은이들의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인한 수요감소 등에 의한 현상으로 판단됩니다. 이중 지방의 악성미분양은 부동산 시장 호황기 시절 앞다투어 진출했던 건설사의 투자들 때문인데, 아파트 건설에는 수년이 소요되다보니 과거에 브릿지론과 PF대출로 이미 진행했던 건설들을 돌이킬 수 없다보니 어쩔 수 없이 진행하여 미분양을 양산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기존에 진행되던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더이상 투자를 하지않고 선별적으로 돈되는 곳만 투자를 하는 것으로 경향이 변경되었기에, 기존 프로젝트들이 종료되면 더이상 공급이 되지않아서 향후에는 공급부족으로인해 지방에도 가격이 상승하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지역별로 다를 수 있으며 금리, 환율, 경제상황의 변화 그리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