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전문가입니다.
이상하 전문가
중원 노무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1년 이상 근무자 중도 퇴사 시 연차 갯수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상 연차 발생하는 조건을 충족하였다면 1년 미만 개근 시 발생하는 연차 총 11개와 1년 넘게 근무하여 전년도 출근율에 따라 발생하는 연차 15개 총 26개가 존재합니다. 모두 미사용했다면 26개의 연차 미사용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임금체불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임금체불 신고 기간은 언제까지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신고 이력이 취업사실에 불이익이 되지도, 알 수도 없습니다. 임금체불은 퇴사 후 14일이 지나도록 지급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하므로, 퇴사 후 신고한다면 특별히 금품청산기일을 연장한다는 약정이 없는 한 14일 이후부터 노동청 진정 제기가 가능하며 그 시기는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근로계약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휴게시간 관련하여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법상 기준에 따르자면 그렇습니다. 마지막에 붙인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었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5:50분부터 16:50분까지 휴게시간 사용 후 10분 더 근무하고 퇴근하는 것은 근로시간 도중에 준것이라고 볼 수는 있으나, 휴게시간의 취지를 고려할 때 적정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계약직 연차일수 정산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공동연차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인이 어려우나, 상시 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연차 발생 후 사용하지 못한 연차에 대하여서는 수당으로 지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4개의 연차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연차사용촉진이 없는 한 그 연차도 수당으로 지급되어야 합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조퇴를 6시간 근무중 2시간 했는데 월차부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약정휴가라면 회사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겠으나, 근로기준법상 연차휴가라면 조퇴만을 이유로 연차 차감할 수는 없습니다. 결근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연차가 발생합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해고예고수당 얼마인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해고예고수당은 주휴수당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1일치 통상임금의 30일치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상시급이 10,030원이라면 하루 통상일급은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것만 반영하므로 80,240원(1일 8시간 근무 기준) 이며 30일치의 해고예고수당은 2,407,200원입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한달근무중 조퇴를 했는데 월차가 없어지는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1년 미만 근로자에게 월 개근 시 지급하는 연차 1개의 발생 조건은 "개근"이고 결근이 아니면 됩니다. 지각이나 조퇴는 결근이 아니라 일단 출근한 것이므로 연차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조퇴 자체만으로 연차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급여 수령일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어떤 차이를 의미하는 것인지요? 급여지급일 자체의 차이라면 회사에서 정하는 날에 지급하는 것이므로 차이가 있겠지만, 그 외에 임금지급일에 따라 근로자에게 불리한 것이 있는지라면 별도로 그런 내용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고정 ot 운영시 야간근로수당 별도 지급해야하는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연장근무수당인지 야간근무수당인지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구분하지 않고 제수당 명목으로 계산되는 경우라면 적법하지 않은 포괄임금제로서 효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명확하지 않기에 그것이 연장근무수당인지 야간근무수당인지 설명이 어려우므로 회사에 어떤 내용으로 계산한 것인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2년 만근 후 퇴직시 연차수당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25년 6월 7일까지 출근하여 근무한 후 다음날 퇴사하면 연차는 발생합니다. 즉 366일 근무하면 됩니다. 참고 바랍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