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무역
무역 이미지
Q.  대만이 부과한 덤핑 관세, 한0대만 무역구조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대만이 한국과 중국산 스테인리스강 냉연제품에 부과한 반덤핑 관세는 한-대만 무역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경제부는 2024년 한국산 스테인리스강 냉연제품에 7.17% 관세를 유지하고, 중국산에는 최대 25.82%를 부과 중이며, 이는 대만 내 철강 산업 보호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한국의 대만 수출은 2024년 기준 110억 달러로, 스테인리스강은 반도체 장비와 건설 자재로 약 10% 비중을 차지합니다. KOTRA 대만 무역관은 관세로 한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약 510% 약화되며, 수출 물량이 연간 1억 달러 가량 감소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이에 포스코 등 주요 기업은 대만 바이어와 가격 협상을 강화하고, 현지 합작 투자 예를 들어 대만 Yieh Phui와의 협력을 검토하며 시장 점유율 유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장기적으로는 무역구조 다변화와 산업 대응이 필요합니다. 대만의 관세는 한국 기업의 비용 부담을 늘려 이익률을 약 3~5% 낮출 수 있으며, 대만 내 중국산 대체 수요가 늘 가능성도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RCEP를 활용한 동남아 시장 확대와 베트남·인도네시아 수출 2024년 500억 달러 목표을 강조하며 대만 의존도를 줄이려 합니다. 실무적으로는 계약서에 관세 변동 조항 예를 들어 5% 초과 시 재협상을 추가하고, 디지털 물류 플랫폼 예를 들어 트레드링스로 바이어 데이터를 분석해 신규 시장을 발굴해야 합니다. 반면, 대만의 반도체 협력 2024년 TSMC와 삼성 협업 20% 증가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한국은 기술 교류를 강화하며 무역 균형을 맞추는 전략이 요구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인천항과 동남아 신규 항로 개설, 무역 물류 경쟁력에 진짜 도움 될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인천항의 동남아·남중국 신규 항로 개설은 무역 물류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천항만공사는 2024년 동남아 항로 PERTIWI를 포함해 총 36개 컨테이너 항로를 확보하며 베트남 붕따우, 태국, 말레이시아 등과의 연결성을 높였습니다. 연합뉴스 2024년 7월 15일 보도에 따르면, 신규 항로는 연간 2만 TEU 이상의 물동량을 창출하며 수도권 화주의 운송비를 약 10% 정도 절감할 가능성이 있습니다.다만 장기적 경쟁력은 추가 인프라와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인천항은 신항 2단계 개발 2026년 완공 목표로 수심 16m 확보와 배후물류단지 확충에 1조 원을 투자 중이나, 부산항 2024년 물동량 2,400만 TEU에 비해 규모가 작아 동남아 물류 허브로의 전환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또한 미중 관세전쟁 2025년 4월 기준 미국 145%, 중국 125%과 남중국해 긴장으로 항로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실무적으로 기업은 TMS 운송관리시스템을 통해 항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계약서에 운임 변동 조항 예를 들어 10% 초과 시 재협상을 추가해 리스크를 줄여야 합니다. 정부는 RCEP 활용으로 동남아 수출 2024년 1,000억 달러 목표을 지원하며 인천항의 역할을 키워야 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일본의 실질임금 하락에 따른 대일 일본 무역은 어떻게 전략을 수립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일본의 실질임금 하락은 소비시장 위축과 수출 경쟁력 변화로 한국의 대일 무역 전략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본 내각부(2025년 1월)에 따르면, 2024년 실질임금은 0.3% 감소하며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소비자물가는 2.7% 상승했다. 이는 가계 구매력 약화로 민간소비 증가율이 0.4%에 그치며 한국산 소비재수요를 약화시킬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 엔저(엔/달러 155엔대)로 일본 수출품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한국의 반도체·자동차 수출(2024년 대일 160억 달러)은 일본산 대체재와 경쟁에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한국의 대일 무역 전략은 소비시장 변화와 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수립해야 합니다. 실질임금 하락으로 일본 중산층의 저가 소비가 늘어나니, 한국 기업은 비용 효율적 제품(예: 냉동식품, 2024년 수출 20% 증가)과 디지털 플랫폼(예: 라쿠텐)을 활용한 직판을 확대해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RCEP를 통해 일본 외 아시아 시장 다변화와 공급망 협력(예: 호주 희토류)을 강화해 엔저와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미얀마 사이버 보안법 제정으로 수입 할 때 주의해야할 사항이 더 생겻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미얀마의 사이버 보안법(2022년 초 제정)은 데이터 보호와 사이버 범죄 대응을 강화하지만, 무역 환경과 해외 기업의 현지 진출에 새로운 제약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 법은 데이터 국지화(현지 서버 저장 의무)와 정부의 데이터 접근 권한을 확대하며, VPN 사용 제한과 온라인 콘텐츠 검열을 포함합니다. 수입 기업은 전자상거래나 디지털 결제 관련 데이터 처리 시 현지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예를 들어, 통관 서류의 디지털 제출 시 암호화와 서버 위치를 점검해야 합니다. KOTRA(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법 집행의 불확실성으로 외국 기업의 컴플라이언스 비용이 약 15~20%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IT 장비 수입 시 사이버 보안 인증(예: MMCERT 기준)이 추가로 요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무적으로는 계약서에 데이터 규제 관련 책임 조항을 명시하고, 현지 법률 자문을 받아야 합니다.해외 기업의 진출에는 더 큰 리스크가 따릅니다. 사이버 보안법은 외국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을 제한하고, 정부의 데이터 감시로 지적재산권 유출 우려를 키웁니다. 미얀마 내 외국인 투자(2023년 약 7억 달러)는 이미 군정 불안으로 감소 중이며, 이 법은 IT·통신 기업의 진출을 주저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기반 기업은 현지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부담으로 철수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수입 기업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규제 변화를 실시간 추적하고, 바이어와 협력해 대체 결제 경로를 마련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법 집행의 불투명성과 인프라 부족으로 단기적 혼란이 예상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환율 경제 관련문제인데 어떻게풀어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 문제는 NZD/SGD (뉴질랜드 달러 / 싱가포르 달러) 환율을 구하는 문제이고, 두 통화 모두 미국식 표시법 (USD 기준) 환율이 주어졌기 때문에, 아래 공식을 활용해 환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이에 따라 계산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NZD/SGD 매입환율 ≈ 1.1833NZD/SGD 매도환율 ≈ 1.1858추가적으로 유럽식 표시법으로 바꾸고 싶다면 거꾸로 뒤집으면 됩니다.SGD/NZD 매입 = 1 / 매도환율 = 1 / 1.1858 ≈ 0.8432SGD/NZD 매도 = 1 / 매입환율 = 1 / 1.1833 ≈ 0.8452감사합니다
1911921931941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