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박인국 입니다.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박인국 입니다.
박인국 전문가
삼성서울연합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4월 2일 작성 됨
Q.
해부학 공부중인데요 상완골의 외회전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뭔가 잘못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대흉근은 상완골의 내회전과 수평내전과 관계가 있습니다.
2025년 4월 1일 작성 됨
Q.
나이가 들수록 유연성이 떨어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지속적으로 해주지 않으면 관절 움직임은 뻣뻣해지게 됩니다.국민체조와 같이 관절을 다방면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매일 반복적으로 해주어야 가동범위가 유지 될 수 있습니다.관절음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하지만 관절을 움직이는 것은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관절 움직임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사용근육도 제한적이 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감소하고 근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2025년 4월 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식사 후 배에 가스가 차는 느낌이 있거나 소화가 잘 안되거나 배변활동이 원활하지 못한다거나 특이 사항이 있을까요?가만히 앉아 있을 때 호흡이 힘들어지는 느낌이 있거나 갑자기 심장이 두근거리는 느낌을 느낀다던가 하는 다른 증상들은 없을까요?통증을 느끼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보통 스트레스로 인해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이야기 하지만 본인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인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처음 호흡이나 소화가 잘 되는지 물어본 이유는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때 몸내부의 기능저하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고 생각되어 말씀드렸습니다.추가적으로 유연성이 좋은 상태인데 이런 증상이 있다면 내가 견딜 수 있을 만한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몸에 좋을 수 있습니다. 내가 견딜 수 있을 만한 스트레스는 찬물로 목욕을 하는 것과 같이 그러한 스트레스를 말씀드리는 부분입니다.처음에는 힘들 수 있겠지만 따뜻한 물로 먼저 샤워하다 미지근하거나 시원한 물로 마무리를 하면서 차차 차가운물로 샤워하시거나 샤워 마무리를 하는 습관을 들이시게 되면 몸에 일상생활에 받는 스트레스를 약간씩 버틸 저항력을 길러줄 수 있습니다.시간이 걸리겠지만 빨리 좋아지는 법은 없습니다.반대로 유연성이 부족한 편이시라면 퇴근 후 자기전 따뜻한 물로 샤워 후 바로 누운자세에서 필과 다리를 벌린 자세에서 호흡을 편안하게 하시어 몸에 근장을 이완시키는 연습을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몸이 이완될때 몸에서 많은 변화들이 발생합니다.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긴장되어 순환이 안되는 부위에 순환을 개선시킬 수도 있습니다.스트레칭 근력운동 보다는 원초적으로 기본이 되는 호흡과 소화기관을 회복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됩니다.그리고 어떤과에 진료를 봐야 할지 어떻게 검사를 진행하면 좋을지 의료 상담을 받고 싶으시다면가정의학과 가시면 자세하게 상담해주실겁니다.그렇지 않다면 다른 가정의학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힘내십쇼!!!
2025년 4월 1일 작성 됨
Q.
운동한다음날 무릎이 갑자기아프네요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일단 무릎이 부어있는 느낌이나 팽만감이 있고 열감이 있으면 냉찜질 해주시면 통증이 조금이라도 감소 될 수 있습니다.추가적으로 무릎 내측인지 외측인지 슬개골 하부에 통증인지 슬개골을 중심으로 통증이 위아래 양측 옆에 있는 통증인지에 따라 어느 근육의 힘줄에 문제가 생겼는지 알수 있으며 통증 부위에 따라 양상에 따라 관절을 감싸고 있는 인대인지 십자인대나 내외측 측부인대의 염증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해당부위를 직접적으로 마사지 하거나 통증을 유발 시키지 마시고 병원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신경외과 가시면 통증에 대한 처치 해주실 것으로 보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2025년 3월 31일 작성 됨
Q.
폐쇄성 중족골 골절 때문에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안타까운 마음에 도움이 되셨으면 해서 글을 올리게되었습니다.현재 골절된 상태로 보아 체중지지가 힘든 상태이며 지속적으로 체중지지를 하게된다면 뼈가 붙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잘 때라도 발을 고정 시켜놓고 주무시면 잘 때 조금씩 골절 부위진액으로 붙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나 많이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보행을 잘 연습하셔서 체중부하가 골절된 부위로 많이 쏠리지 않도록 조심하며 걷는방법 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일단 발을 고정시킨다는 내용은 아프시더라도 반깁스를 하고 계시는게 좋다고 생각되며 평상시에도 사용하여 걷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네이버에 검색해보니 이렇게 고정해주는 제품이 있네요~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제가 말씀드리는 내용이 100% 해결해드릴 수는 없습니다.착용감이 편해야하나 발등이나 플라스틱이 닿는 발가락 사이에 통증이 생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이러한 제품도 있네요~수술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시라면 보호대 착용하여 최대한 엄지발가락이 움직이지 않게 잘 고정 해주셔서 잘 붙을 수 있도록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인터넷에 찾아보면 어려 종류의 발가락 보호대들이 있습니다.검색은 "엄지 발가락 골절 테이핑" 이라고 검색하여 찾은 결과입니다.발 모양이 어떻게 생겼을지 몰라 제가 생각했을 때 보호해줄 수 있는 제품을 찾아 보았습니다.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제정적 어려움이 빨리 해결되어 맘 편이 치료 받으실 수 있길 바랍니다.힘내세요!!!!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